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Invading the Pancreatic Head or Duodenum

췌장 두부 또는 십이지장을 침범한 위암에서의 수술적 치료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Purpose: Combined resection of an invaded organ in advanced gastric cancer (AGC) with infiltration of adjacent organs is essential to achieve R0 resection. However, when the tumor invades the head of the pancreas or duodenum, R0 resection interferes with the lower resectability and results in a higher morbidity. Wereviewed these cases retrospectively and considered the proper extent of the surgical re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cases where patients underwent surgery for gastric adenocarcinoma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8 and December 2003. Among the 45 patients who were suspected to have pancreatic head or duodenum invasion by a primary tumor or metastatic lymph nodes based on the operative findings, we included 22 patients without incurable factors.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4 patients that underwent a combined resection (PD group), 12 patients that underwent a palliative subtotal gastrectomy (STG group) and 6 patients that underwent bypass surgery only (GJ group).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perative data and results. Results: The patients of the PD group achieved R0 resection by PD with D3 Dissection in all Patients. A pancreatic fistula was observed in one patient (morbidity 25%). There was no surgery-associated mortality (mortality 0%). All patients of the PD group were in stage IV. However, the 2-year survival rate (SR) was 75% and the 5-year SR was 50%. Six patients of the STG group underwent surgery with marginal resection and the other six patients of the STG group had a positive distal resection margin. The 2-year SR was 41.7% and the 5-year SR was 16.7%. Most of the patients of group GJ were of old age (mean age: $72.7{\pm}8.6$ years) or had chronic diseases. The 2-year SR was 0%. Conclusion: Combined resection of the pancreas and duodenum in AGC with pancreatic head invasion is relatively safe with moderate morbidity and a lower mortality. One can expect long-term survival if combined resectionis performed in cases without incurable factors.

목적: 주위 장기를 침범한 진행성 위암에서 병소의 완전한 절제를 위해서는 침범된 장기의 합병 절제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양이 췌장 두부나 십이지장물 침범하는 경우에는 낮은 절제 성공과 높은 이환율로 인하여 병소의 완전한 절제는 제한된다. 이에 저자들은 췌장 두부 또는 십이지장을 침범한 위암에서 시행된 수술 방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수술 방법 선정의 적절성을 알아보고가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5년가 예수병원 외과에서 위선암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소견상 원발 종양이나 구역 림프절에 의해 췌장 두부나 십이지장의 침범이 의심되는 45명의 환자 중 비치유 인자를 동반하지 않은 22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합병 절제를 시행한 4예를 PD군, 위아전절제술만을 시행한 12예를 STG군, 고식적 우회술만을 시행한 6예를 GJ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서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수술적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PD군은 모두 D3 림프절 절제술을 포함하는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하여 병소의 완전한 절제를 하였으며, 1예에서 췌장루를 보였고(이환율 25%) 수술로 인할 사망 예는 없었다(사망률 0%), PD군은 모두 제 IV 병기였으나 75%의 2년 생존율과 50%의 5년 생존율을 보였다. STG군은 종양을 변연 절제(marginal resection)하거나 (6예) 고식적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6예) 림프절 절제의 범위도 D2 이하로 적었고 41.7%의 2년 생존율과 16,7%의 5년 생존율 보였다. GJ군은 평균 연령이 $72.7{\pm}8.6$세로 고랑이었으며 2년 생존율이 0%였다. 결론: 췌장 두부를 침범한 진행성 위선암에서 합병 절제로서의 췌십이지장절제는 중등도 이환율과 낮은 사망률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고 비치유 인자가 없는 경우 장기 생존을 기대할 수 있는 술식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