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양막유래 줄기세포의 체외 배양 시 소태아혈청 대체제로서의 인간제대혈청

Human Cord Serum as a Fetal Bovine Serum Substitute for the Culture of Human Amnion-Derived Stem Cells

  • 김진영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 박세아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 강현미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 김은수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 김해권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Kim, Jin-Young (Dept. of Bio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
  • Park, Se-A (Dept. of Bio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
  • Kang, Hyun-Mi (Dept. of Bio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
  • Kim, Eun-Su (Dept. of Bio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
  • Kim, Hae-Kwon (Dept. of Bio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 발행 : 2007.09.30

초록

중간엽 줄기세포(MSC)를 체외배양할 때 사용하는 소태아혈청 (FBS)의 생물학적 불안전성은 이를 임상적으로 사용하는데 있어 제한점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태아혈청 및 인간의 제대혈청을 사용하여 인간의 양막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HAM)를 각각 배양한 후, 세포의 성장속도와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제왕절개 후 얻은 양막으로부터 HAM을 분리하여 10% FBS, 5% HCS 혹은 10% HCS가 각각 첨가된 DMEM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으며, 초기와 후기 계대의 세포를 얻어 이들의 생물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역전자 중합효소반응 결과, 혈청의 종류에 상관없이 배양된 세포들은 모두 OCT-4, Rex-1, SCF, FGF-5, BMP-4, nestin, NCAM, GATA-4, HLA-ABC 유전자를 발현하였으며, 이러한 발현은 초기 및 후기 계대의 세포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세포면역화학 반응 결과, FBS 혹은 HCS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된 HAM은 4번째 계대에서 collagen I, II, III, XII, fibronectin, $\alpha$-smooth muscle actin, vimentin, CK18, CD54, FSP, TRA-1-60, SSEA-3, -4, HLA ABC 단백질을 뚜렷하게 발현하였다. 그러나 desmin 단백질은 FBS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배양된 HAM에서만 발현되었고 vWF 단백질은 HCS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배양된 HAM에서만 발현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양상을 살펴본 결과, HCS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배양된 HAM은 전형적인 인간성체줄기세포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FBS가 첨가된 배양액과 비교하여 동등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Mesenchymal stem cells (MSC)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cell-based therapies. One major obstacle for their clinical use is the unsafety of fetal bovine serum (FBS), which is a crucial part of all media currently used for the culture of MSC.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uman cord serum (HCS) on the growth response,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of human amnion-derived stem cells (HAM). HAM were isolated from the amnion after a Caesarean section and cultured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FBS, 5% HCS or 10% HCS. During culture, their biological characteristics at earlier and later passages were analyzed using RT-PCR and immunocytochemistry. Regardless of serum sources, HAM showed the prominent expression of Oct-4, Rex-1, SCF, FGF-5, BMP-4, nestin, GATA-4, NCAM and HLA ABC genes. The expression profile was observed even at later passages. Similarly, HAM cultured in either FBS or HCS exhibited the distinct protein expression of collagen I, II, III and XII, fibronectin, $\alpha$-smooth muscle actin, vimentin, CK18, CD54, FSP, TRA-1-60, SSEA-3, -4 and HLA ABC. However, desmin expression was only observed in HAM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FBS and vWF expression was only found in HAM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HCS. Overall pattern of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HAM was typical of known adult stem cells such as bone marrow-derived MSC. In conclusion, HCS could be as effective as FBS for the culture of HA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