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파시기가 헤어리벳치와 가을무의 생육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seeding Date on Growth of Hairy Vetch (Vicia viilosa) and Radish, and on Weed Occurrence

  • 이광회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Lee, Kwang-Hoe (College of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s, Sangji University)
  • 발행 : 2007.06.30

초록

중부지방에서 월동 1년생 두과 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를 이용한 유기재배를 확대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헤어리벳치-옥수수 작부체계의 후작물로서 가을무를 헤어리벳치와 혼파시기를 달리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혼파시기가 빠를수록 섭식성 해충에 의한 무의 생육저해가 증대하였다. 2. 혼파시기가 빠를수록 여름형 잡초의 종류와 생육량이 증대하였다. 3. 헤어리벳치는 8월 중순 이후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 전 생육량이 증대하였다. 4. 가을무도 8월 중순 이후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생육량 및 최종 수량이 증대하였다. 따라서 헤어리벳치와 가을무를 혼파 할 경우 혼파 시기는 관행의 파종적기인 8월 중순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Under the conditions of the least inputs such as no-chemical fertilizer, no-chemical insecticide, and no-weeding,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mixed-seeding date on growth of hairy vetch and radish, and on the status of weed occurrence. Radish was severely damaged by insects during the whole growth period. Many summer annual weeds emerged and grew vigorously when the seeding date was August 14, but rarely emerged when the seeding date was August 28. Most growth parameters of hairy vetch and radish were higher when the seeding date was August 14, compared to those of the seeding dates of August 21 and August 28. For the mixed seeding of hairy vetch and radish under the conditions of the least inputs, the seeding date during the middle of August could be recommen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충국, 서종호, 조현숙, 최성호. 2002. 벼 재배 시 헤어리벳치 녹비의 이용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5(3) : 169-174
  2. 농업과학기술원. 1999. 작물별 시비처방 기준, 농업과학기술원, 수원. pp. 45-46
  3. 서종호, 이호진, 김시주, 허일봉. 1998. 생육단계 및 경운방법에 따른 헤어리베치 녹비의 질소방출 패턴의 변화.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1(2) : 137-142
  4. 서종호, 이호진. 2000. 헤어리벳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한국작물학회지, 45(6):400-404
  5.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2001. 옥수수-연맥 헤어리벳치 작부체계에서 옥수수에 대한 헤어리벳치 녹비효과. 한국작물학회지, 46(3) : 189-194
  6. 서종호, 박종열, 송득영. 2005. 경사지 밭토양 유실억제 및 질소비료절감에 대한 피복작물 헤어리벳치의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8(3) : 134-141
  7. 연규복, 장영희, 김창석, 김동수, 박근용, 권용웅, 강병화, 변종영, 구자옥, 김길웅. 1992. 원색도감 한국의 밭잡초, 농촌진흥청, 수원. pp. 204
  8. 이정태, 이계준, 박철수, 황선웅, 용영록. 2005.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헤어리베치 초생재배에 의한 토양유실 경감 및 질소비료 공급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8(5) : 294-300
  9. 임수길, 이규하. 1992. 무.배추 생육에 대한 수종의 유기질비료 시용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5(1) : 52-56
  10. Gliessman, Stephen R. 1998. Agroecology : ecological processes in sustainable agriculture. Ann Arbor Press, Chelsea, 219 pp
  11. Miller, Darrell A. and Carl S. Hoveland. 1995. Other temperate legumes. In R. F. Barnes, D. A. Miller, C. Jerry Nelson (Eds.), Forages Vol. I An introduction to grassland agriculture, Iowa state university, Ames, pp. 273-281
  12. Seo, Jong-Ho, Ho-Jin Lee, Il-Bong Hur, Si-Ju Kim, Chung-Guk Kim, and Hyeon-Suk Jo. 2000. Use of hairy vetch green manure as nitrogen fertilizer for com production. Korean J. Crop Sci. 45(5) : 294-299
  13. Seo, Jong-Ho, Ho-Jin Lee, Il-Bong Hur, Si-Ju Kim, Chung-Guk Kim, Hyeon-Suk Jo, and Jung-Sam Lee. 2000. Nitrogen use and yield of silage corn as affected by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soil-incorporated at different time in spring. Korean J. Crop Sci. 45(4) : 272-275
  14. Sea, Jong-Ho and Ho-Jin Lee. 2005. Effect of hairy vetch green manure on nitrogen enrichment in soil and corn plant. Korean J. Soil Sci. Fert. 38(4) : 21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