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Weed Occurrence and Growth of Some Leguminous Plants for Green Manure Cover Crop During Summer Fallow

여름철 휴경조건에서 잡초의 발생과 몇 가지 두과식물의 녹비로서의 이용성에 대한 비교

  • Lee, Kwang-Hoe (College of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s, Sangji University)
  • 이광회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weed occurrence and to evaluate the field performance of some leguminous plant species under no-weeding fallow condition during summer months from middle of June to middle of August. In 2005 and 2006, the first dominant weed species was Digitaria sanguinalis, and other major weed species, such as Cyperus amuricus, Portulaca oleracea, and Amaranthus retroflexus,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In both years, total shoot dry weight of weeds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plot, and the lowest in the cowpea plot, indicating that cowpea most effectively suppressed the growth of weeds among treatments. When the growth of four different leguminous species were compared after seeding during middle of June in 2006, cowpea and rice bean grew vigorously under no-weeding condition during hot and humid summer months, while wild soybean and hairy vetch did not. Shoot dry weight was in the order of cowpea > rice bean > wild soybean > hairy vetch. In conclusion, cowpea is a leguminous species which can be used as a green manure cover crop during summer months under no-weeding and our climate condition. Further works are needed to use cowpea as a green cover crop during summer months for various cropping systems.

본 실험은 강원도 영서지역에서 맥류 수확 후 가을채소 파종까지 휴경을 하게 될 경우의 여름 휴경지 관리방안으로 가을채소용 두과녹비작물의 도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주요 잡초는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 그리고 털비름 등 비두과 식물로, 자연적인 두과식물의 출현은 없었다. 2. 두과식물을 6월 중순 로타리 경운 후 파종할 경우 동부와 예팥은 출현율이 높았으나, 돌콩과 헤어리벳치는 출현율이 낮았으며, 동계일년생 두과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는 하계잡초와의 경합에서 도태되는 경향이었다. 3. 만성형식물인 동부는 잡초의 생육을 가장 크게 억제하였으며, 만성 예팥이나 돌콩, 그리고 헤어리벳치보다 생육량이 많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조건에서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두과식물의 인위적인 파종이 필요하며, 동부는 여름철 휴경지의 녹비작물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 김창석, 노영덕. 2001. 우리나라의 잡초발생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21(2) : 83-98
  2. 강병화, 심상인, 마경호. 2003. 휴경 연차에 따른 휴경지 군락내식생 특성. 한국환경농학회지, 22(1) : 53-59
  3. 김기준, 김광호, 김영희. 1981. 파종기이동에 따른 두과작물의 생육특성 비교연구 제2보 콩, 팥, 녹두의 개화기 분포 및 결협율의 변이. 한국작물학회지, 26(3) : 243-250
  4. 김수동, 차영훈, 조진태, 연규복, 박상일. 1985. 동부(Vigna unguiculata L.)의 파종기 이동체 따른 생태 및 수량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30(4) : 419-426
  5. 김홍식, 김석동, 박상일, 손석용, 정승근, 송범헌. 1998. 예팥, 야생팥 및 팥의 형태적 특성변이. 한국육종학회지, 30(4) : 343-349
  6. 김홍식, 손석용, 김석동, 박상일, 정승근, 이영호. 1999. 예팥의 작물학적 특성과 품종군 분류. 한국육종학회지, 31(4) : 400-407
  7. 연규복, 장영희, 김창석, 김동수, 박근용, 권용웅, 강병화, 변종영, 구자옥, 김길웅. 1992. 원색도감 한국의 밭잡초, 농촌진흥청, 수원. pp. 204
  8. 윤문섭, 백형진, 정종욱, 마경호, 이정란, 김행훈, 김창영. 2002. 한국의 남한강 및 북한강 유역의 야생 Vigna속 유전자원의 유연관계. 한국육종학회지, 34(3) : 195-200
  9. 이인용, 박남일, 권오석, 박종현, 지승환, 임은상, 박재읍. 2006. 중부내륙지방 평야지 논에서 휴경기간에 따른 잡초발생과 재경작을 위한 잡초방제. 한국잡초학회지, 26(1) : 108-114
  10. 장권열. 1976. 두과식물 자원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명칭, 생육상태 그리고 용도의 다양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연구소보, 10 : 95-122
  11. 황재복, 송석보, 홍연규, 정기열, 박성태, 김순철. 2004. 휴경밭의 토양수분 함량별 잡초발생 군락 특성. 한잡초지, 24(4) : 253-261
  12. Chung, S. D., H. W. Huh, and M. G. Chung. 1995. Genetic diversity in Korean populations of Glycine soja (Fabaceae). J. Plant Biol. 38(1) : 39-45
  13. Duke, J. A. 1981. Handbook of legumes of world economic importance. Plenum Press, New York, pp. 297-300
  14. Gliessman, S. R. 1998. Agroecology: ecological processes in sustainable agriculture. Ann Arbor Press, Chelsea, p. 219
  15. Handayanto, E., G. Cadisch, and K. E. Gi11er. 1997. Regulating N mineralization from plant residues by manipulation of quality. In G. Cadisch and K. E. Giller (Eds.) Driven by nature, plant litter quality and decomposition,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pp. 175-185
  16. Miller, D. A. and C. S. Hoveland. 1995. Other temperate legumes. In R. F. Barnes, D. A. Miller, C. J. Nelson (Eds.), Forages Vol. I An introduction to grassland agriculture, Iowa state university, Ames, pp. 273-281
  17. Myers R. J. K., M. van Noordwijk, and P. Vityakon. 1997. Synchrony of nutrient release and plant demand: plant litter quality, soil environment and farmer management options. In G. Cadisch and K. E. Giller (Eds.) Driven by nature, plant litter quality and decomposition,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pp. 215-229
  18. Shin, S. H., K. Y. Park, S. O. Shin, S. G. Lim, T. J. Ha, and D. S. Kim. 2006. Source-sink relationships of soybean as influenced by drought stress during the pod and seed-developing stage. Korean J. Crop Sci., 51(4) : 310-317
  19. Stele, W. M., D. J. Allen, and R. J. Summerfield. 1985.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In R. J. Summerfield and E. H. Roberts (Eds.), Grain legume crops, Collins, London, pp. 520-583
  20. Weil, R. R. and F. Magdoff. 2004. Significance of soil organic matter to soil quality and health. In F. Magdoff and R. R. Weil(Eds.), Soil organic matter in sustainable agriculture. CRC Press, Boca Raton, pp.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