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저항성 콩 유전자원 탐색

Screening of Resistant Genetic Resources to Stink Bug in Soybean

  • 오세관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
  • 백인열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 황필성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
  • 강성택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
  • 서득용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 박금룡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발행 : 2007.06.30

초록

본 연구는 효율적인 콩 노린재 검정방법을 개발하고 저항성 유전자원 선발하여 콩 노린재 저항성 품종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영남농업연구소에 보존되고 있는 콩 유전자원 298자원을 공시하여 $2001{\sim}2004$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1. 1년차에 298개의 유전자원에 대하여 노린재 피해율을 조사하였더니, 40%정도의 피해율을 나타낸 품종이 가장 많았고, 10%이하로 피해율이 낮은 품종도 10개정도 선발되었다. 2. 전년도에 피해율이 비교적 낮은 102개의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2년차 선발을 수행한 결과, 12품종에서 10%미만의 낮은 노린재 피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기타 대부분은$20{\sim}30%$의 피해율이었다. 3. 아울러 효율적인 노린재검정방법을 개발하고자 일품검정콩을 공시하여 콩 생육단계별 노린재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협비대기보다 종실비대기에서 노린재 피해협율이 급격히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R6에서 35.5%로 노린재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4. 협피해율에 따른 저항성 유전자원을 선발한 결과는 Peking이 10.3%로 가장 낮았고, 소록콩, 황색준저리 및 소백나물콩 순서로 낮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종실에서도 유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소립종이 대립종에 비하여 저항성 정도가 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5. 또한 노린재 기피반응을 구체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Peking과 소록콩을 별도로 시험한 결과, R5시기에서는 Peking이 10.0% 및 소록콩이 14.2%의 피해율을 보였지만, R5.5시기를 넘어가면서 피해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콩 내부 조직적으로 노린재의 접근을 저지시키는 성분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6. 상기의 결과로부터 소록콩, 소백나물콩, Peking 및 황색준저리 등 4개의 저항성 유전자원은 금후 노린재에 대한 내충성 콩 품종개발을 위한 육종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effective test method by soybean stink bug and to screen resistant genetic resources against soybean stink bug. The damage pod rate by stink bug showed 40% of most soybean varieties and was selected about 10% low of 10 varieties by 298 variety and degree in soybean at first year Stink bug damage rate research for 102 varieties that stink bug damage rate lowed at first year showed 10% low of 12 varieties and from 20% to 30% of the other varieties. So testing material is "Ilpumgeumjeongkong" to develop for effective test method soybean stink bug and result for stink bug damage rate research of according to growth stage showed rapidly high more full seed than full pod. Full seed stage (R6) was highest to 35.5% for stink bug damage rate. Result of resistant genetic resources selection according to stink bug damage pod rate was lowed of best to 10.3% for "Peking, Sorogkong, Hwangsaegjunjeari and Sobaeknamulkong" in the order. Also, stink bug damage seed rate was similar too. So "Peking, Sorogkong, Hwangsaegjunjeari and Sobaeknamulkong" were thought resistant variety against stink bug. Additional study carried out with "Peking and Sorogkong" so that concretely investigate about stink bug's refuse reaction. This result showed 10.0% for Peking and 14.2% for Sorogkong at R6 stage. But, damage pod rate was rapidly lowed.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세관, 백인열, 황필성, 한원영, 신상욱, 정명근. 2003b. 콩 노린재 저항성 유전자원 탐색연구. 한국작물학회지(48-별2) : 86-87
  2. 오세관, 황필성, 백인열, 서득용, 강성택. 2003a. 콩 노린재 저항성 계통선발을 위한 노린재 접종시기 구명. 한국작물학회지(48-별2) : 52-53
  3. 이상규, 유재기, 황창연, 최병렬, 이정운. 1997.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영향. 작물보호논문집. 39(1) : 25-27
  4. 이영인, 한상찬. 1992. 콩의 해충, 콩 유전육종 및 재배생리. 이홍석박사 회갑기념논문집. pp. 481-487
  5. 하건수, 허남기, 김재록, 김성용, 송수현. 1998. 콩 품종 및 파종기에 따른 노린재류 피해와 발생. 작물보호논문집. 40(2) : 32-36
  6. 한상찬, 최귀문. 1988. 우리나라에서의 콩의 주요 해충 및 방제. 농촌진흥청 심포지엄. 3 : 153-165
  7. 城所 陸. 1978. ホリへリマメムシの乾燥種子による飼育と發育. 北日本病害虫硏報. 29 : 5-10
  8. 長谷川仁. 1958. カメムシ類の食性. 新昆蟲. 11(6) : 40
  9. 河野 哲. 1989. ホリへリマメムシの溫度と日長に對する生理的特性から推定した年間發生 回數 日本動昆誌 33(4) : 196-203
  10. Bae, S. D., H. J. Kim, J. G. Park, and H. J. Cho. 2003.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Embryonic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Bean Bug, Riptrotus clavatus Thun berg (Hemipera: Alydidae). Korean J. Appl. Entomology. 42(2) : 156-160
  11. Bae, S. D., H. J. Kim, J. G. Park, J. K. lung, and H. J. Che. 2004. Effects of Food Combinations of Leguminous Seeds on Nymphal Development, Adult Lonevity and Oviposition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Korean J. Appl. Entomology. 43(2) : 123-127
  12. Ishimoto, M. and K. Kitamura. 1993. Inhibitor Effects of Adzuki Bean Weevil-Resistant Mungbean Seeds on Growth of the Bean Bug. Japan J. Breed. 43 : 75-80 https://doi.org/10.1270/jsbbs1951.4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