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urse of Modernization of Korean Housing: The Transition of Housing Facilities and the Technicalization of Housing Life - Content Analysis of Advertising Materials -

부거설비의 진보와 주거생활의 기술화 측면에서 본 한국 주거의 근대화 논의 -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의 아파트 광고를 중심으로 -

  • 전남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
  • 은난순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박진희 (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
  • 이장섭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김소연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7.06.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housing facilities have been progressed, how housing life has been technicalized and which factors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housing in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Review of advertising material for apartment sales in the newspaper from 1970s' to the 1990s' are mainly utilized to follow up the changes of kitchen equipment and furnitures, bathroom equipments, heating and cooking facilities and their fuel system,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security and intelligent system. However, high technology in apartment was a symbol of modem housing in each time. The improvement of housing facilities brought about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in household works. In other words, housing space plays as "Living Machine". And appearance of new technology systems leaded to a pluralistic activities in the home. As well as improvement on the material environments accelerated the individualization phenomena in housing space.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2002), 한국여성의 가사노동과 경제활동의 역사. 도서출판 신정
  2. 김영호(2005), 위생설비 발전사, 설비저널 34권 6호. pp.24-31
  3. 루쓰 코완/김성희외 역(1997), 과학기술과 가사노동, 신정
  4. 전완길 외(1995), 우리생활문화 100년, 장원. p.321
  5. 제일기획 마케팅연구소(1997,.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행동
  6. 김대현(2004), IMF 기간 일간 신문 분양 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의 차별화 내용 및 요소, 한국조경학회지 32권 4호. pp.71-82
  7. 김미희 . 윤복자(1992), 평면규모 30평 및 40평형대 아파트 거주자의 공간 사용방식(I)-안방, 거실, 식당/부엌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권10호. pp.25-39
  8. 김승언 . 손세관(2000), 신문광고에 나타난 우리나라 아파트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1990년대 아파트 신문 광고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 1호. pp.103-106
  9. 김영인 . 김기숙(1990), 한국 대도시 가정의 부엌설비 및 조리기구에 관한 실태조사. 제1부: 부엌설비 및 식사현황에 관하여, 한국조리과학회지 6권 1호. pp.53-60
  10. 김영호(2005), 위생설비 발전사, 설비저널 34권 6호.pp.24-31
  11. 김혜정(1997), 우리나라 근대 주거공간의 변천을 통해 본 여성 주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기족생활연구논총 2집 pp.31-48
  12. 노미경 . 황연숙(2005),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커뮤니티시설의 실내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 6권 4호. pp.211-219
  13. 신화경(1998), 신문광고를 통해 본 시대별 주거가치 변화에 관한 연구 -아파트 관련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지 9권 1호, pp.75-85
  14. 오용선 . 신경철(2006), USN 환경을 도입한 국내 35평 아파트의 유비쿼터스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설계, 게임&엔터테인먼트 논문지 2권 1호. pp.78-86
  15. 윤복자 . 최형선 . 이선미 . 이수진(1990), 주거형태 변천과정에서 본 주거학의 생태학적 개념정립. 제1부: 부엌변천, 대한가정학회지 28권 3호 . pp.67-85
  16. 윤정숙 . 이은경(1990), 한국 도시주택에 있어서 주생활 양식에 관한 조사 연구 -서울, 전주,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28권 3호 . pp.53-65
  17. 이기영 . 김성희(1995), 과학기술이 가사노동수행양식에 미친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3권 1호. pp.71-81
  18. 이병룡(1996), 지역별 공동주택의 차별화 아이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10호. pp.67-73
  19. 건설교통부(1980), 아파트 주거환경통계 . 주택자료 37, 53
  20. 대한주택공사(1995a), 공동주택 생산기술의 변천에 관한 연구, pp.39-40; p.72
  21. 대한주택공사, 1983 - 1999, 1995b, 아파트 주거환경통계
  22. 대한주택공사(1997), 주택통계편람. 조사, 97-12
  23. 시정개발연구원(2001), 서울20세기 공간변천사
  24. 조선일보, 동아일보, 1970년 1월-1999년 12월
  25. 여성중앙 1976년 5월호
  26. 통계청 www.nso.go.kr
  27. Bijker, Wiebe, Thomas P. Hughes, and Trevor Pinch(1989),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 New Directions in the Sociology and History of Technology, The MIT Press
  28. Dietz, Simone (1992), Die Technisierung der Lebenswelt, in: Peter Schefe (ed.), Informatik und Philosophie, BI Wissenschaftsverlag
  29. Hughes, Thomas P. (1983), Networks of Power: Electrification in Western Society 1880-1930,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