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eference Attributes for Silver Town Development

실버타운 개발을 위한 선호속성에 관한 연구

  • 하정순 (대구카톨릭대학교 부동산통상학부) ;
  • 조주현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 Published : 2007.06.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lling attention to the silver town by analyse preference attributes diversely and suggest alterative plan. Also, offering basic data which needs for the establishment of comfortable and ideal old age residence culture by developing silver town which is appropriate for our circumstances and emotion. The survey population of this study focused on 40s and 50s' middle aged both genders living in the Seoul and national capital region, we used random sampling method. The analy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ANOVA, post-hoc estimation (Duncan test), multiple regression,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무(1995), 실버타운의 성공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미희(2006),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중년층의 노후 주거선호, 한국주거학회, 17(1), 117-126
  3. 김지영(2000), 실버고객의 관광지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권문배 . 원영신(2002), 실버타운 입주와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와의 관계, 한국노년학회지 21, 183-195
  5. 곽재용(2006), 개인가치가 관광지 선호속성과 과시, 합리적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대한건설협회(1995), 실버산업의 현황과 개발방향. 대한건설협회
  7. 박영희(2002), 실버타운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보건복지부(2007), 2007년도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9. 서종녀 . 김선중(2000), 울산시 거주자의 임대주택에 대한 주거가치 유형연구, 대한 가정학회지 38(1), 89-98
  10. 소연경 . 허선구(2005), 실버타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6), 145-153
  11. 성미미(2001), 실버계층의 스포츠 참여와 스포츠 장애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상형종(1998), 수요 및 공급측면에서 본 유료노인복지시설의 접근방향, 대한건축학회 18(8), 111-119
  13. 신하연(1997), 중년기 소비자들의 경제적 노후대비 수준과 실버타운에 대한 요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금용홍성태조정미(2004), 직접소비자와 간접소비자의 소비자의사결정에 따른 실버타운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20
  15. 이민경 . 김양희 . 박정윤(2004), 중노년기 실버타운 선호도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9(1), 1-23
  16. 안승덕(2001),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오익근(1996), 실버층의 여행상품 구입에 따른 정보매체 사용특징, 관광 레져연구 8, 107-123
  18. 윤연희(1999), 유료양로원 입주노인의 생활실태조사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윤철현(2001), 실버타운 이용 노인의 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조선일보. 2004. 10. 02. A 12면 , 노인통크(TONK)족 급증
  21. 조은정 . 이기춘(1994), 신세대 소비자의 주거가치, 한국가정관리학회, 12(1), 132-144
  22. 정철모 . 박영춘(2004), 고령화시대의 지방도시개발과제-실버타운 개발방안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발전연구 29, 7-32
  23. 정헌영 . 최용수(1997), 실버타운 개발에 대한 의식 분석, 부산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도시연구보, 5, 25-32
  24. 주영애 . 이길표(1987), 주거에 관한 가치관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69-84
  25. 최경화(1999), 유료양로시설의 현황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최성재(1997), 미국의 노인 복지에 있어서 사회복지와 실버산업의 역할, 한국노년학, 17(3), 199-228
  27. 최영옥(2004), 한국의 실버타운운영평가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최목화(1987), 현대한국 주거의 질적인 예측을 위한 실증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통계청(2005), 장래인구 추계 결과, 통계청
  30. 하춘광(2006), 중년층의 노인준비도 및 실버타운 선호도가 실버타운 입주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정치 복지 정책, 24, 201-224
  31. 한국토지개발공사(1995), 실버타운 개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32. 하정순(2007), 주거가치유형화에 따른 아파트 선택 및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8(2), 11-20
  33. Cutler V. F. (1947), Personal and family values in the choice of a home, Cornell univ. Agricutura Experiment station Bulletin 849, Itthca, New York: Cornell Univ
  34. Murray, C., & Lopez, A. (1996),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Cambridge Massaschusetts: Harva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