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Welfare Effects of Tax Reform: Case of Korea

세제개편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동적분석

  • Received : 2007.09.01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welfare effects of revenue neutral tax reform using a small open economy dynamic general equilibrium model. We apply this model to the Korean data and examine welfare effects of various tax reforms; removal of capital income tax and/or labor income tax financed by consumption tax. We investigate both long run equilibrium and transitional dynamic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sizable welfare gains (1-3% of lifetime consumption) when factor income taxes are replaced by consumption tax. Overall gains are generated by long run gains despite short run welfare losses. However, there is welfare loss when capital income tax is replaced by labor income tax.

본 논문은 조세제도의 개편이 (기존의 세수를 유지하는) 경제 및 효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국경제를 위한 동적 일반균형모델을 한국경제에 적용하여 분석한다. 여러 가지의 조세제도 개편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특히 기업의 법인세나 가계의 근로소득세를 소비세(부가가치세)로 대체하는 경우 단기 및 장기적으로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본다. 모델의 결과에 따르면 이같은 세제개편은 대체로 경제 전체의 효용을 1~3% 정도 증가시킨다. 단기적으로는 경제가 나빠지지만 장기적인 이익이 단기적인 효용감소를 능가한다. 하지만, 기업의 법인세를 낮추고 이를 가계의 근로소득세로 대체할 경우, 경제 전체의 효용은 낮아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