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research is the initial step for establishing a convertible body sizing table applicable to the Korean and American female apparel industry. All 3D female measurement data of the two countries were obtained from Size Korea Project and SizeUSA Project. The sampl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988 Korean and 6,306 American females. Thirty-four(34) variables were chosen as the principal measurements in making garment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 First, it was determined that American women were larger and longer than Korean women in all measurement except shoulder slope measurement. Second,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analysis of the each age group in Korean Females, all measurements except hip girth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ge groups. In case of American females, all measurements except arm length(shoulder to wris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ge groups. Third,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of the two countries' women, some dimensions varied significantly with age, while other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 age groups. Fourth, according to the t-tests of same age groups between Korean & American female measurements, American female measurements were larger and longer than Korean in all measurements except crotch length total, shoulder slope, hip girth-bust girth and hip girth-waist girth.
본 연구는 한미 성인여성복의 산업계에서 상호적용이 가능한 신체 치수 호환표의 작성에 필요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에 사용된 인체 치수는 모두 3차원 스캐너를 통해 수집된 것이다. 분석대상인 한국인의 인체 치수는 Size Korea사업에 의해 수집된 1,988명의 인체 치수 자료이고, 미국인의 인체 치수는 SizeUSA사업에 의해 확보된 6,306명의 성인여성 인체 치수 자료이다. 의류제작에 관련이 높다고 사료되는 34개 측정 항목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깨경사각을 제외한 전체 측정항목에서 미국 여성이 한국 여성의 인체치수에 비해 그 값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집단간 각 측정항목의 평균치를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한국 여성의 경우 엉덩이둘레를 제외한 모든 측정항목에서 연령집단간 유의차가 검증되었으며, 미국 여성의 경우 팔 길이를 제외한 모든 측정 항목에서 연령집단간 유의차가 검증되었다. 셋째, 양국 여성의 연령집단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몇몇 측정치의 경우 연령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항목에서는 연령집단간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양국 성인여성의 동일 연령집단간 t-test결과, 샅앞뒤길이, 어깨경사각, 엉덩이둘레-젖가슴둘레, 엉덩이둘레-허리둘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미국 성인여성 측정치가 한국 성인여성 측정치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