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Disabiliti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the Korean Elderly

한국 노인의 성별 일상생활활동 장애율

  • Received : 2007.02.28
  • Accepted : 2007.04.12
  • Published : 2007.05.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disability prevalence and its related factors between men and women.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as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5, and the instrument of measuring disability was the K-ADL which had been developed by Won(2002).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test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bivariate analyses, women had more disabilities than men among the entire elderly and the young elderly. However, there was not gender difference of disability among the old elderly.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disability,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disability were found. However, in the same analyses for the individu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n had more disabilities than women for all the activities except bathing and incontinence control. In conclusion, women's higher prevalence of disability in the univariate and bivariate analyses were spurious, because it was disappeared when other related factors to disability were controled for and women's disability became lower than men for some activities of daily living.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 장애율 및 이와 관련된 요인이 남자 노인과 여자 노인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었다. 분석 자료는 2005년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이었고, 일상생활활동 장애를 측정하는 도구로는 원장원(2002)이 개발한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를 사용하였다. 일상생활활동 장애율의 성별 차이는 χ2검정 분석을 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장애와 관련된 독립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변량 분석 결과 노인 전체와 전기 노인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일상생활활동 장애가 많았으나 후기 노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연령 및 기타 장애와 관련된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인 전체, 전기 노인, 후기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전반적인 일상생활활동 장애율의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상생활활동 각각의 장애율에 대하여 동일한 분석을 한 결과 목욕하기와 대소변 조절을 제외한 나머지 활동들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장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보다는 만성질환 등의 일상생활활동의 장애와 관련된 다른 요인들에 더욱 주목할 필요성을 말해준다. 또한 남자의 일상생활활동 장애율이 여자보다 높은 것이 돌봄의 성역할 차이에서 비롯된 것인지에 대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