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tical Study of th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Bodies in Urban Parks - A Case Study of Urban Parks in Gyeong-nam -

도시공원 수공간의 디자인 형태 및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

  • Kim, Jong-Py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im, Won-Hyeon (Dept. of Tourism Landscape Architecture, Kyungju University)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case study offers fundamental data for the research and construction of future of water. It also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water bodies in urban parks. This study was begun by conducting field research on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67 different urban parks located in the downtown areas of the following cities: Gimhae, Yangsan, Changwon, Masan, and Jinju. The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uly to October of 2006. Additional research was performed in July of 2007. Construction trends were examined and th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locations, shapes, scales, materials, and added objects for the enhancement of recreational value of the 31 water bodies constructed in 18 urban parks out of the 67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ost common design feature was a fountain that shot up. The bodies of water were designed by using a simple technique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location, shape, size, materials, and added objects for the enhancement of recreational value, with the exception of a few different factors in the research subjects. In conclusion, it can be recommended that further research be conducted in the consideration and various plans of location, shape, size, materials, and added objects for the enhancement of recreational value of future constructions of water bodies in urban parks in order to offer a more pleasant environment to the users.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일(1982) 한국정원의 수경관 연출 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동찬, 권오원(2001) 골프장 연못의 관리만족도를 위한 설계기준. 한국조경학회지 29(5): 84-91
  3. 김신덕(2006) 수공간의 전통성 재현 요소와 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신, 박영기(1999) 공동주택단지내 수공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9(1): 21-26
  5. 김영인, 김만중, 깅정수, 홍형순, 장태현(2001) 사직분수대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29(4): 75-81
  6. 김영훈(2001) 안도 다다오의 작품에 타나는 수공간의 공생적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9): 165-176
  7. 김용기, 홍광표, 이상윤, 심창진, 양달섭(1994) 조선시대 별서정원의 수경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1): 43-56
  8. 김효진, 박한규(2001) 시지각적인 측면에서 본 수공간의 형태에 의한 건축공간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2)
  9. 남승희, 김용기(2000) 외암리 민속마을의 수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 (1): 60-69
  10. 문정민, 박수경(2003) 실내공간에 연출된 수공간의 체험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38: 258-265
  11. 박기범, 이유진, 김정재(2000) 현대건축에서 수공간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형태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 : 509-512
  12. 박병규(2006) 주민 선호도를 고려한 공동주택 외부공간 형태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학회논문집 31(1): 95-106
  13. 박찬용(2000) 운암지 수변공원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28(4): 117-124
  14. 손강호, 김강섭(2005) 종교건축 수공간의 현상학적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4(6): 193-201
  15. 심우경, 강훈(1988) 한국 고대사찰에 있어서 영지의 상징적 의미와 수경적 가치.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 249-276
  16. 오수미, 박언곤(2002) 조선 상류 주택의 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493-496
  17. 오영근(1996) 물의 의미와 공간적 해석. 한국디자인학회지 9: 127-133
  18. 우경국(1985) 한국의 수경과 건축공간의 만남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1): 291-305
  19. 이승한, 이영수(2003) 생태적 특성을 적용한 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1): 191-194
  20. 이영호, 김계동(2002) 한국전통건축에서 물과 수공간의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3(1): 10-18
  21. 이영호, 김행신(2002) 서구 건축공간에서 물과 수공간의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3(3): 11-20
  22. 이응희(1999) 물의 풍수론적 시각에서 본 전통마을의 입지와 공간구성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0(2): 214-222
  23. 장완영(2000) 수변도시 Waterfront의 시각적 이미지에 의한 차별적 도시이미지 형성연구. 한국디자인포럼 5: 48-64
  24. 정연승. 박인환(1999) 실내식물과 수경시설의 이용 현황.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1): 59-67
  25. 정운익, 허근영(2004) 신라시대 안압지 수공간의 이해에 근거한 유지 관리 수준 결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91-107
  26. 진금해, 최만봉, 노재현(2003) 실내조경 수공간의 이용만족도 요인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1(1): 23-33
  27. 황정환(1991) 수.수경관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대학교 논문집 3: 113-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