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 김명희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최연실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Published : 2007.06.29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basic materials that assist in marital counselling and marital therapy intervention through its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systematic focus o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of social interest and import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rried men and women, aged 40 to 59,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and Kyeonggi; the study excluded those who were divorced, bereaved or whose last child was in over high school, but included those who were separated or in a second marriage. A total of 396 people, 134 men and 262 wom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married men recorded higher level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than middle-aged married women. While women show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an me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intim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ird,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were shown to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both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Of the two, marital communication had more the influence. Marital communication also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levels of depression among both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민(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경신.김정란(2001).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정체감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39(4), 105-120
  3. 김경신.박은주(1996). 효과적 인 부부 의 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전남대학교 가정과학연구, 6, 111-122
  4. 김명자(1989). 중년기 연구. 서울: 교문사
  5. 김 명자(1998). 중년기 발달. 서 울: 교문사
  6. 김미라(2001). 부부친밀도에 미치는 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순기(2001). 기혼남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애순(199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 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연화(2002). 도시부부의 생활예절 수행.가족체계 역동성.심리적 복지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요완(200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성 지식 수준의 성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윤민(2003). 중년기 남성의 일.가족 역할수행 부담 및 심리적 복지.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진희(1998).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스트레스 인지수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태현.김양호(2003). 중년 남성의 남성의식, 직장생활 및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 학회, 8(1), 99-120
  14. 박민지(2006).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 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의사소통.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성호(2001). 부부의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빛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수정(1999) 중년기 부인의 사회관계망과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정희(1999) 주부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족관계 변인: 청소년 자녀가 있는 도시 중산층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준희(2004). 기혼남녀의 성격특성, 가족관계스트레스, 여가 활동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서정아(1998). 가족 및 직업 특성이 중.장년기 남성의 심리 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 신기영(1999).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역할과 직업역할의 보상/비용에 따른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심혜선(2001). 도시주부의 부부간 의사소통효율성.가정관리 전략 및 가정생활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2. 양진선(2004). 부부친밀감과 자아존중감 및 원가족 건강성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옥선화.정민자(1995). 결혼과 가족. 서울: 하우
  24. 이경화(2003). 자아존중감, 내외통제성, 건강상태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도시 중년기 성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경희(1995).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 학회지, 33(4), 235-249
  26. 이경희(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경희(2003). 이혼한 한부모가 지각한 부모역할 보상과 비용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8. 이미나(2000). 흔들리는 중년 두렵지 않다. 서울: 한겨레신문사
  29. 이선미(2001).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정은.이영호(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심리,19(3),531-54.8
  31. 이주희(1999). 취업부부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 자아존중감 및 성역할정체감의 중채효과.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임영란(1992). 한국개신교 교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재정(1987). 중년기 여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고려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정현숙(2001). 디지털 시대, 협공 받는 중년기가족. 한국가정 관리학회지 제30차 추계학술대회 자료집,33-45
  35. 정현숙.유계숙(2001). 가족관계. 서울.학지사
  36. 조옥희(2004).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조유리(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진미정(1993). 중년기 여성의 어머니역할 수행부담과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최연실(199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체계 유형과 가족 내 심리적 거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1), 159-175
  40. 통계청(1995). 1995년 인구주택 총조사
  41. 통계청(2000). 2000년 인구주택 총조사
  42. 통계청(2005). 2005년 인구주태 총조사
  43. 허윤정(1997). 부부 관계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성신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Bryant, F. B. & Veroff, J.(1982).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 sociohistor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43(4). 653-673 https://doi.org/10.1037/0022-3514.43.4.653
  45. Horowitz.L.M(1979).Cognitive structure of interpersonal problems treated in psychotherapy.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47.5-15
  46. Jacobson.N.S.& Magolin.G(l979).Marital therapy: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behavior enhancing principles.N.Y.: Brenner
  47. Lewis.R A.& Spanier.G B.(1979).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1.269-273
  48. Moss.B.& Schwebel.A (1993).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Family Relations.42.31-37 https://doi.org/10.2307/584918
  49. Noller.P.& M A Fitzpathrick(1990).Marital communication in the eigh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52(4).832-843 https://doi.org/10.2307/353305
  50. Waring.E.M(1984).The rreasurerrent of marital intimac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10.185-192
  51. Waring.E.M & Chelune.G J.(1983).Marital intimacy and self-disclosure.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39(2).183-190 https://doi.org/10.1002/1097-4679(198303)39:2<183::AID-JCLP2270390206>3.0.CO;2-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