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불연속면을 따라 점토 등의 충전물이 포함된 경우에는 불연속면의 방향이 유리하게 작용하더라도 사면안정에 불안정성을 초래한다. 연구지역의 사면활동은 점토충전물과 풍화토의 경계를 따라 발생하였다. 이것은 물성의 차이를 보이는 경계부분이 존재했기 때문이며, 암석에서 엽리 등이 구조적 운동시 연약대로 작용하여 층간의 미끄러짐을 유도하는 현상과 매우 유사하다. 대부분의 해석에서 점토충전물이 존재할 경우에는 하나의 불연속면으로 설정하여 해석한다. 이때의 불연속면은 점토층내에서의 활동면으로 해석되므로 점토와 원지반과의 경계부의 특성이 해석에 고려되지 못하여 불연속면의 거동은 결국 점토의 물리적 성질에 많이 지배된다. 점토충전물로 인한 활동사면의 안정성 평가 결과는 충전물에 의한 불연속면의 파괴유형에 따른 강도정수에 의해 안전율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When filling material such as clay is included along the discontinuity, it may cause instability on a slope even if the direction of discontinuity works in a positive way. In the study area, slope sliding occurred at the boundary between a clay filling material and weathered soil because the physical properties differ across the boundary; and this is very similar to the situation where foliation in a rock works as a weak zone during a structural behavior, causing an inter-layer slip. In most analysis, if there exists a clay filling material, a single discontinuity is assumed to perform analysis. In those cases, the discontinuity is modeled as a slip surface within cla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y are not considered in the analysis, so that ultimately the physical property of clay usually prevails.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slope stability affected by clay filling material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fety level due to the strength parameter depending on the failure type of the discontinuity by a filling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