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Aspects of Fatigue

피로의 생물학적 측면

  • Lee, Moon-Soo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 Joe, Sook-Hae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 이문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7.12.15

Abstract

Fatigue is a significant problem in health ca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fatigue and psychiatric disorders has generated significant interest in recent years. Increased rates of psychiatric disorder among individuals with chronic fatigue have been reported. Fatigue may be defined as physical and/or mental weariness resulting from exertion. The cause of fatigue is complex, influenced by events occurring in both the periphery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Because fatigue may result from a number of causes, it should be treated comprehensively. The treatment is largely symptomatic and rehabilitative.

정신과에 내원하는 환자들 중에서 피로를 호소하는 환자들의 비율이 높으며, 만성적인 피로감을 호소하는 환자들에서 다른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질환이 공존하는 경우도 많다. 환자들은 많은 괴로움을 호소하나, 기저의 임상상태의 종류와 심각도에 대해서는 비특이적이므로 실제로는 임상가에 의해서 무시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중요성이 과소평가되는 경우가 많아서, 적절한 처치를 받지 못하고 삶의 질에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피로는 말초와 중추신경계 둘 다에서 영향을 받는 다차원적인 현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환자가 호소하는 피로증상에 대해서 좀 더 적극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여러 약물학적 및 비약물학적 접근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