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Richard Dyer (1985). Entertainment and Utopia, in Movies and Methods, 3, ed, Bill Nichols, Berk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220-32
- Sarah Berry (2000) Screen style: Fashion and Femininity in 1930s Hollywood,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48에서 재인용
- Joanne Finkelstein (2005). After a Fasion. 김대응, 김여경 역. 서울: 청년사, p.75
- Anne Massey (2000). Hollywood Beyond the Screen. Oxford and NY: Berg
-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 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13-18
- Sarah Berry (2000) Screen style: Fashion and Femininity in 1930s Hollywood,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Stella Bruzzi (1997). Undressing Cinema: Clothing and Identity in the Movies, London: Routledge
-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Elizabeth Leese (1991). Costume Design in the Movies, NY: Dover:
- 김복희(2006), 영화 〈사랑보다 아름다운 유혹〉에 나타난 팜므파탈 의상의 미적 특성, 복식 56(9)
- 김지선, 염혜정 (2004). SF영화에 나타난 가죽 의상의 사이버레지스탕스 미학 연구. 복식,54 (2)
- 조윤영, 양숙희(2003). 영화의상에 나타난 엘리자베스 여왕 1세 로브의 표현효과. 복식,53(3)
- 김현숙(2003). 영화의상 〈매트릭스2-리로디드〉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패션 이미지 연구. 복식, 53(7)
- 신경섭, 박혜원(2000). 영상산업과 패션산업 연계의 시각에서 본1990년대 영화의상의 이미지 연구. 복식, 50(3)
- David Bond (1992). Glamour in Fashion. Middlesex, Great Britain: Guinness Publishing
- 권현진(1994). 영화의상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숙명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p. 12
- 김현숙(1995) 무대의상 디자인의 세계. 서울. 고려원, p. 31
- Gaines and Herzog (1990). Fabrication: Costume and the Female Body. NY: Routledge, p. 181
- 최경희, 김민자(2000). 1960년대 이후 한국영화에 나타난 복식의 변천. 복식, 50(8), p. 181
- Regine & Peter W. Englemeier (1997). Fashion in Film, Munich: Prestel-Verlag, p.7
- 신강호(1991).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대 황금기. 영화연구, 8(1), pp. 97 -118
- David Bond (1992)
- David Bond (1992). Glamour in Fashion. Middlesex, Great Britain: Guinness Publishing, p. 18
- 박주희(2005). 1930년대 할리우드에 나타난 글래머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6),p. 127
- Sarah Berry (2000). Screen style: Fashion and Femininity in 1930s Hollywood,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47-93
- Annette Tapert (1998). The Power of Glamour. NY: Crown Publishers. p. 10
- Margaret F. Thorp (1939). America at the Movie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pp. 68-75
- 박주희(2006). 현대패션에 나타난 글래머 스타일의 미적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4에서 재인용
- Englemeier and Elglemeier, op. cit, p. 19
- http://alldic.daum.net/dic/search_result_total.do?type=all&q=lukury
-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 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13, 22-45
- James B. Twitchell (2003). 럭셔리 신드롬. 최기철 역, 서울 : 미래의 창, p.16
- 고현진 (2003). 복식에 표현된 엘레강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37
- Werner Sombart (1977). 사치와 자본주의, 이상률(역), 서울:문예, p. 101
- 김유로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쾌락주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44
- Leah Feldon (1982) Dressing Rich: A Guide to Classic Chic for Women with More Taste than Money, NY: Universe.com Inc., pp. 32-36
- 고현진, 복식에 표현된 엘레강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38에서 재인용
- Werner Sombart, 사치와 자본주의, 이상률(역), 서울:문예, PP. 157-159
-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49-52
- 박주희 (2006). 1930년대 할리우드에 나타난 글래머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6)
- Pierre Bourdieu (1997).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화학 上. 서울: 새물결, 최종혁 역, p. 291, pp, 52-53
- Thornstein Veblen (2005). 유한계급론, 서울 : 우물이 있는 집, 김성균 역
- Englemeier and Elglemeier, op. cit, p. 19
- Howard Gutner (2001). Gowns by Adrian. NY: Harry N. Abrams
- Anne Tapert (1998). The Power of Glamour. NY: Crown Publishers.. pp. 53-54
- Gaines & Herzog, Fabrication: Costume and the Female Body. NY: Routledge, pp, 125-128
- Englemeier and Elglemeier, op. cit, p. 238
- Englemeier and Elglemeier, op. cit, p. 240
- 이정희 (1996). Edith Head의 작품을 통해본 영화의상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4(2), pp. 236-237
- 이정희 (1996). Edith Head의 작품을 통해본 영화의상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4(2).. pp. 242-243
- Sandy Schreier (1998). Hollywood Dressed and Undressed: A Century of Cinema Style. NY: Rizzoli, p. 27
- Anne Massey (2000), Hollywood Beyond the Screen. Oxford and NY: Berg. pp. 21-42
- Dale McConathy & Diana Vreeland (1976). Hollywood Costume: Glamour. Glitter. Romantic. NY: Harry N. Abrams. pp, 22-23
- Joseph Rosa (2004). Glamour: Fashion+Architeeture+Industrial Design. San Francisc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p. 41에서 재인용
- Thomas Harris (1999). 대중적 이미지 만들기: Grace Kelly와 Marilyn Monroe, in Christine Gledhill. 스타덤: 욕망의 산업 I. 서울: 시각과 언어. 조혜정, 박현미 역, pp. 77-80
- 박진배(2001).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 2. 서울 : 디자인하우스. .pp 53-55
- Joseph Rosa (2004), Glamour: Fashion+Architeeture+Industrial Design. San Francisc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p. 124
-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 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49-51
- Anne Massey (2000), Hollywood Beyond the Screen. Oxford and NY: Berg
- Sarah Berry (2000) Screen style: Fashion and Femininity in 1930s Hollywood,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Joseph Rosa (2004). Glamour: Fashion+Architeeture+Industrial Design. San Francisc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 박주희(2006), 현대패션에 나타난 글래머 스타일의 미적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수연(2006). 현대패션에 표현된 글래머 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Charles Eckert (1999). The Carol Lombard in Macy's Window in Glendhill Christine . p. 67
- Joseph Rosa. (2004) Glamour : Fashion+Architeeture+Industrial Design. San Francisc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pp. 16-17
- Elglemeier and Elglemeier, Fashion in Film, Munich: Prestel-Verlag.. p. 229
- Gilles Lipovetsky & Elyette Roux (2004). 사치의 문화: 신성의 시대에서 상표 시대로, 유재명 역. 서울: 문예;. pp. 56-62
- David Bond (1992). Glamour in Fashion. Middlesex, Great Britain: Guinness Publishing, p. 25
- Stella Bruzzi (1997). Undressing Cinema: Clothing and Identity in the Movies, London: Routledge pp. 7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