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흉통 환자의 응급의료센터 방문 전 상황

Prehospital Status of the Patients with Ischemic Chest Pain before Admitt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진혜화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
  • 이삼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 도병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 천병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Jin, Hye-Hwa (Emergency Care Center,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
  • Lee, Sam-Beom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Do, Byung-Soo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 Byung-Yeo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06.30

초록

2004년 10월부터 2005년 4월 중순까지 6개월 동안 영남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 흉통으로 내원하여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 170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70명의 대상자중 남자가 118명, 여자가 52명이었고, 평균연령은 $63{\pm}12$세였다. 전체 대상자의 48.2%가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다. 타병원 경유여부는 2차병원 50.9%, 직접 내원 30.6%, 의원 12.4%, 본원외래 순이었으며 전원되어 온 환자가 직접 내원한 환자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특히 거리가 25 km이상 먼 지역에서 방문한 경우는 전원군에서는 55.5%, 직접 내원군은 28.3%으로 전원군에서 먼 거리 지역의 환자가 많았다(p<0.05). 교통이용에 소요된 시간은 전원군이 $53.3{\pm}19.6$분, 직접내원군이 $33.0{\pm}25.3$분으로 전원군에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p<0.05). 이용교통수단은 119나 129가 31.8%, 자가용은 31.2%, 앰블런스 22.9%, 택시 10.0%, 대중교통 4.1% 순이었다. 흉통 발생시각으로부터 응급의료센터에 도착까지 총 소요된 시간은 최소 30분에서 최대 86,400분(30일)이며, 환자의 44.1%가 증상발현 이후 6시간 이내에 도착했으며, 24시간 이내에 도착한 경우는 67.1%였다. 특히 심근경색증 환자군중 6시간 이상 지체된 경우는 58명으로 54.8%를 차지하였다. 응급의료센터에 내원 전에 응급처치 여부에 있어서 환자 대부분이 의식이 명료하였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은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 대체 의료 행위로는 아무것도 안함이 74.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사혈, 소화제, 청심원, 부황과 뜸 순이었다. 니트로글리세린이용은 환자의 52.4%가 이용하였고, 타병원에서 혈전용해제를 쓰고 온 경우는 전체 대상자의 1.2%였다. 환자의 최초 흉통 발생 시간대는 오전 6~12시가 34.1%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흉통 발생 당시 상황은 휴식중(37.1%), 수면중(22.9%) 순으로 나타났다. 증상발현 장소로는 집이 79.4%로 가장 많았고, 흉통양상은 둔한 양상, 쥐어짜는 듯한 양상 순 등으로 나타났다. 흉통발생시각에서 응급의료센터 도착까지 각 지연 요소별 소요된 시간의 중앙값은 환자 지연시간은 521분, 교통이용 소요시간은 40분, 타병원에 들렀다 온 경우 타병원에서 소요된 시간은 40분으로 총소요시간의 중앙값은 600분이었다. 향후 추적결과에서 자진퇴원은 7.6%, 사망은 6.5%, 입원은 85.9%로 대부분 입원하였다. 심근경색증 환자의 경우 총 106명중 12.2%에서 혈전용해제가 투여되었고, 45.3%에서는 PTCA와 stent 삽입술이 시행되었다. 결론적으로 흉통을 호소한지 6시간 이상 지체된 체 병원에 방문한 경우가 많았고 직접 본원으로 내원한 환자보다 전원 되어 온 환자가 많으므로 의원이나 특히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서는 적극적으로 혈전용해제 투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료 인력에 대해 지속적인 교육 및 시설과 장비를 갖출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고 심근경색증의 전구증상 및 증상에 관한 일반인들의 교육이 시급하며 특히 흡연자나 고혈압, 당뇨 및 협심증, 고지혈증, 뇌졸중 등 심근경색증의 위험인자와 병력을 가진 환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The causes of chest pain vary but the leading cause of chest pain is ischemic heart disease. Mortality from ischemic chest pain has increased more than two fold over the last ten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ata necessary for rapid treatment of patients with signs and symptoms of ischemic chest pai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Materials and Methods : We interviewed 170 patients who had ischemic chest pai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over 6 months with a protocol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The protocol used included gender, age, arriving time, prior hospital visits, methods of transportation to the hospital, past medical history, final diagnosis, and outcome information from follow up. Results : Among 170 patients, there were 118 men (69.4%) and the mean age was 63 years. The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were 106 (62.4%) and with angina pectoris (AP) were 64 (37.6%). The patients who had visited another hospital were 68.8%, twice the number that came directly to this hospital (p<0.05). The ratio of patients who visited another hospital were higher for the AMI (75.5%) than the AP (59.4%) patients (p<0.05). The median time spent deciding whether to go to hospital was 521 minutes and for transportation was 40 minutes. With regard to patients that visited another hospital first, the median time spent at the other hospital was 40 minutes. The total median time spent before arriving at our hospital was 600 minutes (p>0.05). The patients who had a total time delay of over 6 hours was similar 54.8% in the AMI group and 57.9% in the AP group (p>0.05). As a result, only 12.2% of the patients with an AMI received thrombolytics, and 48.8% of them had a simultaneous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In the emergency department 8.5% of the patients with an AMI died. Conclusion : Timing is an extremely important factor for the treatment of ischemic heart disease. Most patients arrive at the hospital after a long time lapse from the onset of chest pain. In addition, most patients present to a different hospital before they arrive at the final hospital for treatment. Therefore, important time is lost and opportunities for treatment with thrombolytics and/or PCI are diminished leading to poor outcomes for many patients in the ED. The emergency room treatment must improve for the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heart disease so that patients can present earlier and treatment can be started as soon as they present to an emergency roo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