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nic Fatigue Syndrome

만성 피로증후군

  • Jung, Seung-Pil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eun-Mi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정승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 이근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chronic fatigue immune dysfunction syndrome (abbreviated CFIDS or CFS)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debilitating fatigue(over 6 months.), along with cognitive, musculoskeletal, and sleep abnormalities. The etiology of this illness is unlikely to be a single agent. Findings to date suggest that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ork together to predispose and perpetuate the illness. Diagnosis is made difficult by the nonspecific clinical findings and no available diagnostic testing. With no known cause or cure for the chronic fatigue and immune dysfunction syndrome, treatment is based on relieving symptom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ffected patients. There is emerging evidence that chronic fatigue syndrome may be familial. In the future, studies will examine the extent to whic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Most patients with CFS have psychiatric problems such as a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r major or minor depression, therefore, these mental health disorders may be correlated with the pathophysiology of the CFS. The treatment for CFS must be individualized, due to the heterogeneity of the CFS population. Also the treatment of CFS is built on a foundation of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respect and advocacy.

만성 피로증후군은 인지능력 감소, 근골격 및 수면 장애증상을 가지며 심한 피로감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군을 말한다. 아직 명확한 진단기법이나 확립된 표식자가 없으며, 타질환을 배제한 후 증상기준에 따라 진단하고 있다. 병태생리도 명확한 인과관계가 증명되지 않고 있으며 치료 역시 환자의 증상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여러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조군과 비교한 많은 연구들에서 중추신경계, 신경호르몬 조절 시스템 및 만성 면역 활성 등의 이상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들을 근거로 현재 다양한 치료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또한 이 증후군은 가족력의 가능성이 크므로 향후 유전 및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우울증이나 범불안 장애 등을 동반하고 있으며, 이들이 병태생리와 관련 있을 가능성도 크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증후군은 개인의 유전적 요소에 생리학적, 정신적 요인과 더불어 영양, 생활습관, 스트레스, 호르몬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만성적인 피로감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자-의사간 긴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약물 및 비약물요법과 인지요법, 단계적 운동요법 등 효과가 인정된 치료방법을 꾸준히 사용하면 증상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