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시 항콜린성제제 사용이 수술 후 인후통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ticholinergic Agents on Postoperative Sore Throat in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inus Surgery

  • 이주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
  • 이덕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 Lee, Joo-Young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Deok-Hee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2007.12.30

초록

수술 후 인후 합병증은 통증이나 구토에 비하면 사소한 합병증이지만 흔히 환자들이 불편을 호소한다. 양 측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후에 양 코를 막아 입으로 숨 쉬게 되어 구강 건조가 더 심할 것으로 보고 환자들을 glycopyrrolate를 전투약 하고 반전시에 쓴 경우, 전투약 하지 않고 반전에만 쓴 경우, 전투약에만 쓰고 반전은 atropine을 쓴 경우, 전투약 하지 않고 반전은 atropine으로 한 경우의 네 군으로 나누었다. 마취 종료 1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후의 인후통과 쉰 소리 여부를 묻고, 없는 경우 0, 있는 경우에는 감기 시 목 아픈 것 보다 약하면 1, 비슷하면 2, 더 심하면 3으로 하여 심각도를 나누어 물었다. 각 군 간의 인후통 발생률은 1군에서 조금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심각도는 모두 1이하로 낮았다. 쉰 소리는 모든 환자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양측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후 인후 합병증은 심각도가 낮고 24시간 내에 사라지는 것으로 항콜린성 제제 사용을 피해야 할 필요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 After sinus surgery, airway dryness is made worse because patients breathe by mouth. Anticholinergic agents have antisialogogue effects. The airway dryness that occurs after surgery is severe and can increase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sore throat. Materials and Methods : One-hundered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endoscopic sinus surgery(ES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group was premedicated with glycopyrrolate or had no premedication and reversed with glycopyrrolate or atropine. After the surgery the patients were asked about a sore throat and hoarseness postoperatively after 1h, 6h, 12h, 24h, and 48hours, respectively. Results :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sore throat and hoarse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s at any time. Conclusion : The severity of complications after ESS was low and subsided within 24 hours. Therefore, the use of anticholinergic agents does not need to be limi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