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내 삽관이 힘든 경우에서 Bonfils Intubation Fibrescope 사용의 임상적인 효과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e Bonfils Intubation Fibrescope in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 이덕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
  • 권일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 Lee, Deok-Hee (Department of Anestheisiology and Pain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won, Il-Chi (Department of Anestheisiology and Pain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2007.12.30

초록

직접 후두경하에 기관내 삽관의 난이도를 Cormack & Lehane 등급에 따라 분류하여 등급 3 또는 4에 해당하는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이 적절한 마취 심도에 도달한 후 직접 후두경으로 성대와 후두개의 노출 여부를 판단하여 Cormack & Lehane 등급 3 또는 4에 해당되면 직접 후두경을 제거하고 대신 Bonfils intubation fibrescope으로 기관내 삽관을 시도하였다. 기관내 삽관의 성공 여부, 삽관 시도 횟수, 삽관에 소요되는 시간, 턱에서 갑상연골의 상부 방패패임까지의 길이(thyromental distance), 턱에서 흉골 상부까지 의 길이(sternomental distance) 그리고 $SpO_2$가 90%이하로 감소하는 지의 여부를 기록하였다. 이 외에 기관내 삽관동안 폐내흡인, 역류, 기관지경련, 기도 폐쇄, 경추 손상 그리고 치아 손상 여부 등이 발생하는지를 관찰하였다. Cormack & Lehane 등급 3에서는 96.9%의 기관내 삽관 성공률을 보였으며 등급 4에서는 50%의 성공률을 나타내어 등급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기관내 삽관에 소요된 시간은 등급 3에서 20 (10-49[7-300]) 초였고 등급 4에서 180 (31-300[10-300])초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기관내 삽관시 $SpO_2$가 90% 이하로 감소된 경우는 등급 3에서 3.1%, 등급 4에서 5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기관내 삽관성공률과 삽관에 소요된 시간으로 보아 Bonfils intubation fibrescope은 Cormack & Lehane 등급 3인 환자에서 유용한 기도 관리 장비로 보이나 등급 4인 환자에서는 항상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도 관리 장비라고는 할 수 없으며, 기관내 삽관 시 다른 대체 장비가 필요할 가능성도 있음을 알아야 하겠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onfils intubation fibrescope for cases of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Materials and Methods : For patients with an ASA physical status 1 or 2 betwen the ages of 20-90, direct laryngoscopy was performed and the layngoscopic view graded according to the Cormack and Lehane classification. Forty patients with Cormack and Lehane grade 3 or 4 were intubated using the Bonfils intubation fibrescope. During intubation, the success rates for tracheal intubation, overall time to intubation, number of attempts and adverse effects were recorded. The Thyromental and sternomental distances were recorded after the orotracheal intubation. Results : The success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rmack and Lehane grade 3 (96.9%) patients compared to grade 4 (50%) (P<0.01). The time to intubation was significantly faster in patients with grade 3 compared to grade 4 (20 (10-49[7-300]) sec vs. 180 (31-300[10-300]) sec, P=0.01). The number of cases with a $SpO_2$<90%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grade 3 (3.1%) compared to grade 4 (50%) (P<0.01). Conclusion : In patients with Cormack and Lehane grade 3, tracheal intubation using the Bonfils intubation fibrescope appears to be an effective technique for the management of a difficult intubation. However, the Bonfils intubation fibrescope can not always be used for the management of a difficult intubation in grade 4 patients; for these patients other effective instrum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difficult intuba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