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부직포의 변형거동 계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easurement of Nonwoven Geotextile Deformation with Strain Gauges

  • 발행 : 2007.04.30

초록

도로 성토재 및 구조물 뒤채움재로 점성토 활용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보강재로 배수성을 갖고 있는 토목섬유 부직포가 점차 주목을 받고 있으나, 현장 보강토구조물에서 부직포의 변형거동을 분석한 사례는 거의 없으며, 그 이유는 부직포의 경우 지오그리드나 직포에 비해 강성이 작고 변형률이 크며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계측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부직포의 변형거동을 보다 간편하게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실내시험과 2개의 실물보강토옹벽에 적용하여 유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구속압 70kPa 하에서 실시한 실내 광폭인장시험의 경우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계측된 부직포의 국부변형은 LVDT에 의해 계측된 전체변형과 유사한 패턴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물보강토옹벽에서 부직포의 변형범위는 직포나 지오그리드보다 크게 나타나나, 이들 보강재와 변형 패턴이 유사하고, 16개월 동안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한 부직포의 변형계측방법은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Because of the increasing use of clayey soil as the backfill in reinfurced soil structures and embankments, nonwoven geotextiles of drain capability have been receiving much attent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deformation behavior analysis of nonwoven geotextiles in reinforced soil structures in the site because nonwoven geotextiles which have low tensile stiffness and higher deformability than geogrids and woven geotextiles, are difficult to measure their deformation by using strain gauges.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a new and more convenient method could measure the deformation behaviour of nonwoven geotextile using a strain gauge and examine the availability of the method by conducting laboratory tests and applying to two geosynthetics reinforced soil (GRS) walls in the site. The result of wide-width tensile test conducted under confining pressure of 70 kPa shows that the local deformation of nonwoven geotextile to be measured with strain gauges has a similar pattern to the total deformation measured with LVDT. In the GRS walls, nonwoven geotextile shows a larger deformation range than the woven geotextile and geogrid. However, the deformation patterns of these three reinforcement materials are similar. The function of strain gauges attached to nonwoven geotextile in the walls works normally for 16 months. Therefore,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for measuring nonwoven geotextile deformation using a strain gauge has proved useful.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유성, 원명수 (2001) '토목섬유 보강재의 평가기법에 관한 실험적 고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1권 제3-C호, pp.243-255
  2. 김진만, 오세용, 이대영, 최봉혁 (2005),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보강사면의 현장 계측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생토공학, pp.1282-1286
  3. 유충식, 김선빈, 이봉원 (2005), '보강토구조물의 장기거동(실험 및 현장계측)', 한국토목섬유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pp.147-156
  4. 유충식, 정혁상 (2004), '.계단식 형태의 실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4-C호, pp.213-222
  5. 조삼덕, 이광우, 이훈연, 장기수 (2005), '2단 고성토 보강토옹벽의 거동평가 사례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pp.95-102
  6. Boyle, S.R. (1995), Deformation prediction of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U.S.A. pp.391
  7. Huang, C-C. (1998), 'Investigation of the local strains in a geosynthetic composite',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Vol.16, pp.175-193 https://doi.org/10.1016/S0266-1144(98)00008-9
  8. Koerner, R.M. (1996), 'The state-of-the-practice regarding in-situ monitoring of geosynthetics', Proc. 1st European Geosynthetics Conference, Netherlands, pp.77-86
  9. Lechchinsky, D.. and Fowler, J. (1990), 'Laboratory measurement of load-elongation relationship of high-strength geotextiles',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9(2), pp.145-164 https://doi.org/10.1016/0266-1144(90)90011-Z
  10. Sluimer, G.. and Risseeuw, P. (1982), 'A strain-gauge technique for measuring deformation in geotextile', Proc. 2nd Internat. Conf. on Geotextiles, Las Vegas, USA, pp.835-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