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서울-인천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분포율

Areal Distribution Ratio of Rock ffes with Geologic Ages in the Gyeonggi-Seoul-Incheon Areas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Yun, Hyun-Soo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Lee, Jin-Young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Yang, Dong-Yoon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Hong, Sei-Sun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발행 : 2007.12.31

초록

ArcGIS 9.0 그리고 1 대 250,000의 수치지질도(한국지질자원연구원)와 수치지형도(국토지리정보원)를 사용하여 경기권역인 경기, 서울 및 인천지역에서 지질시대별 구성암류의 분포율을 각각 추출하였다. 경기지역에서는 합해서 37개의 구성암류가 발달하며 선캠브리아기, 시대미상, 삼첩기, 쥬라기, 백악기 및 제4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쥬라기의 대보화강암류, 선캠브리아기의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호상편마암, 제4기의 충적층의 순으로 분포율이 감소한다. 이들은 합해서 83.7% 정도의 분포율을 이루어 경기지역 구성암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서울지역에서는 합해서 10개의 구성암류가 발달하며 선캠브리아기, 쥬라기 및 제4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호상편마암, 대보화강암류 그리고 충적층의 순으로 분포율이 감소한다. 이들은 합해서 95.5% 정도를 이루어 서울지역 분포암층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대보화강암류의 분포율이 경기지역보다 크게 감소한다. 인천지역에서는 합해서 15개의 구성암류가 분포하며 선캠브리아기, 쥬라기, 백악기 및 제4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충적층, 대보화강암류,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호상편마암, 매립지 그리고 경기편마암복합체내 편암류의 순으로 분포율이 감소한다. 이들은 합해서 96.2% 정도를 이루어 인천지역 분포암층의 거의 대부분을 이룬다. 충적층의 분포율은 경기 및 서울지역에서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다. 매립지 분포율도 크게 증가하며 이는 경기지역에 이어 인천지역의 경기만 해안선을 따라 넓게 발달하는 신도시 등의 산업개발로 인한 매립결과로 해석된다.

Based on 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 of 1 : 250,000 scale, distributive ratios of rock types were obtained by ArcGIS 9.0 program in the Gyeonggi, Seoul and Incheon areas of the Gyeonggi province. In the Gyeonggi area, 37 rock types are developed, and their geologic ages can be classified into Precambrian, Age-unknown, Triassic, Jurassic, Cretaceous and Quatemary. Among them, distributive ratio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Jurassic Daebo granites, Precambrian banded gneiss of Gyeonggi gneiss complex and Quatemary alluvium, all of which comprise about 83.7% of the rock types in the area. In the Seoul and Incheon areas, 10 and 15 rock types are developed, respectively., with the firmer being classified into Precambrian, Jurassic and Quatemary, and the latter into Precambrian, Jurassic, Cretaceous and Quatemary. In the Seoul area, distributive ratio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banded gneiss of Gyeonggi gneiss complex, Daebo granites and alluvium, which consist of 95.5% of the rocks in the area. In the Incheon area, distributive ratio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alluvium, Daebo granites, banded gneiss of Gyeonggi gneiss complex, reclaimed land, and schists of Gyeonggi gneiss complex, which occupy about 96.2% of the rocks in the area. The ratio of alluvium in the Incheon area is greater than that of Gyeonggi and Seoul areas, and the ratio of reclaimed land in the Incheon area is greater that of the Seoul,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recent reclamation of the land for the industrial results such as new town development along the coastline of the Gyeonggi Ba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찬, 고희재, 이승렬, 이창범, 최성자, 박기화, 2001, 1 대 250,000 강능-속초 지질도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6p
  2. 박계헌, 김윤중, 이인성, 박준범, 최만식, 이광식, 정창식, 한정희, 이석훈, 신형선, 1996, 지질 및 해양시료의 미량조성 및 구조분석법 연구(1). 기초과학지원연구소, UCPN00010-025-4, 34-37
  3. 송석환, 1989, 양평지역에 분포하는 염기성 및 중성 심성 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2p
  4. 신성천, 진명식, 1995, 심성암 동위원소연대 지도, 한국자원연구소
  5. 이병주, 김동학, 최현일, 기원서, 박기화, 1996, 1 대 250,000 대전 지질도 및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59p
  6. 이병주, 김유봉, 이승렬, 김정찬, 강필조, 최현일, 진명식, 1999, 1 대 250,000 서울-남천점 지질도 및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64p
  7. 조성순, 1976, 남한의 지층 및 암체의 분포, 면적비에 대한 고찰. 경북대학교 1-13
  8. 최위찬, 최성자, 박기화, 김규봉, 1996, 철원-마전리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31p
  9. 현전기, 1986, 한국석재(화강암류)의 광물조성과 물리적 특성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8p
  10. Cho, D.L., Suzuki, K. Adachi, M. and Chwae, U.C., 1996, A preliminary CHIME age determination of monazite from metamorphic and granitic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Korea. Journal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s, Nagoya Univ., 43, 49-65
  11. Choi, M.C., 1982, Report of the third excavation in Cheon-Kok paleolithic site. 인문과학논총, 건국대학교, 14, 207-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