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3D Positioning Methods by CCD Images of The Mobile Mapping System

차량측량시스템의 CCD 영상에 의한 3차원 위치결정 방법 비교 연구

  • Published : 2007.07.31

Abstract

Applicability of Land-based MMS(Mobile Mapping System) having been increased gradually as digitalization of administrative operation and construction of integrated systems of the government and provincial government are growing up. As these requirements, the case can be occurred that the facilities should be surveyed rapidly in the specific area. At this case, the real time field processing method is more necessary than the post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speed should be an essential element as important as accuracy. In this study, the two space intersection methods used in photogrammetry were programm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o select more proper method for the three dimensional positioning in the field processing. Especially, at the analytic space intersection, the traditional close range terrestrial photogrammetry was modified and applied to that to adapt to MMS's characteristics that camera position and attitud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vehicle movement.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the accuracy between two methods is not significant but at the calculation time, the analytic space intersection is faster three times than the space intersection using collinearity condition.

정부 및 지자체 행정업무의 전산화와 통합시스템 구축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측량시스템의 활용성이 점차 증대 돼 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특정 지역의 시설물을 신속하게 측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는 후처리방식보다는 실시간 현장처리방식이 필요하며 현장처리에 있어서는 정확도 못지않게 자료의 처리속도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도와 처리속도 면에서 현장처리에 적합한 3차원 위치결정방법을 선정하기 위해 사진측량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두 가지 공간전방교회법을 프로그램화하여 비교하였다. 특히, 해석적 공간전방교회법에 대해서는 기존의 근거리 지상사진 측량법을 차량의 이동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가 변하는 차량측량시스템의 특성에 맞도록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비교결과, 정확도의 측면에서는 두 방법에서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의 측면에서는 해석적 공간전방교회법이 약 1/3 정도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