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Between Mothers' Stress from Child Rearing and Parental Role according to the Type of Dysfunctional Family and Normal Family

해체가정과 일반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 차이

  • Park, Joung-O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ngkyul University)
  • Published : 2007.08.30

Abstract

The recent type of dysfunctional family is caused not only by the loss of a family member, which is the traditional type of dysfunction, but also by the absence of a functional aspect. In order for a family to function healthily, it is necessary to have the right child rearing by the parents and the right parental role.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stress from child rearing and the parental role in dysfunctional families, which have been increasing enormously in recent times. With this aim, 45 persons from dysfunctional families owing to divorce, 51 persons from other dysfunctional families, and 48 persons from general families were subject to a test about stress from child rearing and the parental role. As a result, for stress from child rearing, mothers in dysfunctional families perceived stress from child rearing more highly than ones in general families; and also for parental role, the level of parental role was proven lower for mothers in dysfunctional families than ones in general families.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재(2003). 가족해체와 보육정책, 가족해체에 따른 영.유아 교육.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3년 추계전국학술대회자료집. 83-106
  2. 김승권(2001). 최근 가족해체실태와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김연옥, 유채영, 이인정, 최해경(2005). 가족복지론. 서울 : 나남출판사
  4. 김혜경(2006). 어머니의 부모역할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숙영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문혁준(2001). 부모역할 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통권 157, 11-23
  6. 박민형(2006). 한국 한부모가족정책의 문제점과 발전과제.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박세경(2004a). 건강한 가정생활과 가족기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통권 91호, 69-84
  8. 박세경(2004b). 이혼율 증가와 사회적 지원방안. 보건복지포럼, 통권 93호, 47-64
  9. 박세경(2005). 구조적 측면의 다양한 가족 실태와 사회적 지원 방안. 보건복지포럼, 통권 103호, 73-88
  10. 박수향(2006). 부모역할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변화순, 송다영, 김영란(2001). 가족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2. 이병열(1999). 스웨덴.영국.미국의 빈곤정책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임규혁(1996). 교육심리학. 서울 : 학지사
  14. 전혜인(2006). 부모결연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조광영(2004). 한국의 빈곤과 가족해체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성연(2003). 여성한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자녀양육방법. 한국생활과학회지, 12(5), 579-593
  17. 조혜련(2003). 저소득 여성의 한부모 노릇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통계청(2006). 인구동태. 통계청
  19. 한경혜, 이정화(2002). 도시 및 농촌거주자의 이혼에 대한 태도. 대한가정학회지, 40(8), 59-84
  20. 현미숙(2003). 아동 부모교육.상담을 위한 부모역할 지능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현온강(1994). 부모의 역할만족도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2(1), 103-117
  22. Abidin, R. R.,(1990). Parent Stress Index Short Form : Test Manual.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3. Bugental, D. B., Olster, D. H., & Martorell, G. A.(2002). A developmantal neuroscience perspective on the dynamics of parenting. In L. Kuczynski(Ed.), Handbook of dynamics parent-child relations, 25-48. London: SAGE Publication
  24. Crnic, K. A., & Greenberg, M. T.(1990).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https://doi.org/10.2307/1130770
  25. Crnic, K. A., & Low, D. H.(2002). Everyday stresses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2nd ed.) :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Vol 5, 243-268).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Price, S. J., & McKenry, P. C.(1998). Divorce. Thousand Oaks: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