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the Change of Astigmatism Axis When the Fixation Point Moved Far Distance to Near Distance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축 변화에 대한 연구

  • Joo, Seok-Hee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Sunchon Chongam College) ;
  • Sim, Hyun-Seog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Kwang Yang Health College)
  • 주석희 (순천청암대학 안경광학과) ;
  • 심현석 (광양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07.02.10
  • Published : 2007.04.26

Abstract

When the fixation point moved far distance to near distance, the change of astigmatism type in total astigmatism showed no-changed eyes: 1,020 eyes (63.8%), changed eyes: 578 eyes(36.1 %). The change of with-the-rule into oblique-astigmatism, oblique-astigmatism into with-the-rule, against-the-rule into oblique-astigmatism of change was plenty the most respectively. In corneal astigmatism was no-changed eyes: 1,164 eyes (72.8%), changed eyes: 434 eyes(27.1%). The change of with-the-rule into oblique-astigmatism, oblique-astigmatism into with-the-rule, against-the-rule into with-the-rule astigmatism was plenty the most respectively. In residual astigmatism is no-changed eyes: 935 eyes(58.5%), changed eyes: 663 eyes(41.4%). The change of with-the-rule into oblique-astigmatism, oblique-astigmatism into against-the-rule, against-the-rule into oblique-astigmatism was plenty the most respectively. When the fixation point moved far distance to near distance, the change of astigmatism axis in total astigmatism was no-changed eyes: 761 eyes(48.5%), cyclotorsioned eyes the above 10 degrees: 837 eyes(52.3%). In corneal astigmatism was no-changed eyes: 846 eyes(52.9%), cyclotorsioned eyes the above 10 degrees : 752 eyes(47%). In residual astigmatism was no-changed eyes: 614 eyes(38.4%), cyclotorsioned eyes the above 10 degrees : 984 eyes(62.5%). The magnitude of cyclotorsion of astigmatism axis in total astigmatism was Counter clockwise rotation: 31 degrees, clockwise rotation: 20 degrees. In coneal astigmatism was Counter clockwise rotation: 25 degrees, clockwise rotation: 27 degrees. In residual astigmatism was Counter clockwise rotation: 33 degrees, clockwise rotation: 35 degrees.

이 연구는 원 근거리 상태에서의 난시 성분별, 연령별, 난시축의 분포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주시선이 이동 할 때 난시축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안질환이 없고 눈 수술의 경험이 없는 1,598안(남 698안, 여 900안)을 대상으로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 성분들의 변화는 전체난시에서 무변화안 1,020안 (63.8%), 변화안은 578안 (36.1%)을 나타냈으며, 직난시는 사난시로, 사난시는 직난시로, 도난시는 사난시로의 변화가 각각 가장 많았다. 각막난시에서는 무변화안 1,164안(72.8%), 변화안은 434안(27.1%)을 나타냈으며, 직난시는 사난시로, 사난시는 직난시로, 도난시는 직난시로의 변화가 각각 가장 많았다. 잔여난시에서는 무변화안 935안(58.5%) 변화안은 663안(41.4%)을 나타냈으며, 직난시는 사난시로, 사난시는 도난시로, 도난시는 사난시로의 변화가 각각 가장 많았다.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 시 난시축의 회전은 전체난시의 경우 무회전이 761안 (48.5%), $10^{\circ}$ 이상 회전이 837안(52.3%)으로 나타났으며, 각막난시의 경우는 무회전이 846안(52.9%), $10^{\circ}$ 이상 회전이 752안(47%)으로, 잔여난시의 경우는 무회전이 614안(38.4%), $10^{\circ}$ 이상 회전이 984안(62.5%)으로 나타났다. 전체난시의 평균 회전 정도는 반시계방향으로 $31^{\circ}$, 시계 방향으로 $20^{\circ}$로 나타났으며, 각막난시의 평균 회전 정도는 반시계 방향으로 $25^{\circ}$, 시계 방향으로 $27^{\circ}$로 나타났다. 잔여난시에서의 평균 회전 정도는 반시계 방향으로 $33^{\circ}$, 시계방향으로 $35^{\circ}$를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