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of study on Children's Responses to Audie Music Activity

'오디' 음악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에 관한 사례 연구

  • 윤은미 ('오디' 유아음악감수성계발센터, 건국대학교) ;
  • 노주희 ('오디' 유아음악감수성계발센터)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hildren's responses on Audie music activity based on Gordon's Music Learning Method. Subjects of study were 3 five year old children(2 boys, 1 girl) in kindergarten. Data collection drew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researcher journal, the classroom teacher interview. Where more specific data were necessary, video and digital camera recorded. The data were described,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main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udie music activity showed desirable changes in many ways. Their music listening attitude was the one that changed most remarkably. At the beginning activity application, the children were not naturally and could not listen attentively while researcher was singing song without words. Gradually children could listen attentively to the researcher's singing without words. Through the Audie music activity, the children began to think carefully the tone and rhythm of music and to express themselves freely and creatively. At the beginning activity application, the children who showed negative responses and blocked up activity became gradually able to show positive aptitude and to amuse. Also the children who showed passive attitude and no responses became gradually able to react spontaneously.

본 연구는 '오디' 음악활동을 통해 유아의 반응이 행동적 음악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만 5세 유아 24명을 연구대상으로 '오디' 음악활동을 주 2-3회씩 15주 총 3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통해 3명의 유아를 선정하고 연구 보조자의 참여 관찰, VTR과 디지털 카메라 촬영, 연구자 저널 쓰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동 초기에 교사가 육성으로 부르는 가사 없는 노래를 낯설어하고 반응이 없었던 유아들은 점차 교사가 노래를 시작하면 관심을 기울여 듣는 태도를 보였다. '오디' 음악활동의 침묵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음과 리듬이 들리지 않아도 사고과정을 통해 마음속으로 인지하였으며, 소리가 들리지 않아도 마음속으로 노래를 기억하여 동작을 구사하였다. '오디' 음악활동의 다양한 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했으며, 또래간의 상호작용 또한 증가하였다. 또한 활동 초기에 기다리지 못하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활동을 방해했던 유아는 점차 자신을 조절하며 활동에 참여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획일적인 반응을 보이고 교사와 또래를 의식하고 모방하는 것에 그치며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던 유아는 활동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점차 음악의 즐거움을 자연스럽게 신체로 표현하고 신체의 여러 부분을 인식하고 스스로 조절해 가면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을 자발적으로 하게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