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프랙탈 기법을 이용한 조류로 발달 양상의 분석

The Analysis of Tidal Channel Development Using Fractal

  • 엄진아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이윤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유주형 (한국해양연구원) ;
  • 원중선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최정현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발행 : 2007.04.30

초록

조간대의 조류로 발달은 조간대 퇴적물종류, 입도, 조성 및 조류의 세기 등 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조류로의 발달 특성, 밀도, 형태 등은 조간대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갯벌의 조류로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류로의 정량적 분류기준으로 프랙탈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발달 정도가 다른 두 지역의 조류로에 대한 적용결과에 대한 정량적 비교를 제시한다. 시험 적용지역인 강화도 남단 조간대에서 얻어진 IKONOS 영상으로부터 조류로를 추출한 뒤, 프랙탈 분석방법 중 2차원 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box counting 방법을 적용하여 프랙탈 차원을 구하였다. 분석 결과 강화도 남단 전체 조간대 지역에 대한 프랙탈 차원 값은 약 1.31로 나타났다. 조류로의 지선이 단순하며 남북으로 수직방향으로 발달한 지역은 프랙탈 차원 값이 $1.0563\sim1.0672$로 비교적 적은 값을 나타내는 반면, 조류로의 지선이 발달하고 매우 복잡한 형태를 보이는 곳은 프랙탈 차원 값이 $1.2550\sim1.3016$로 나타났다. 즉, 조류로의 발달정도에 따라 프랙탈 차원 값이 약 0.2 정도로 매우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며, 따라서 조류로의 정량적 구분이 프랙탈 분석에 의하여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향후 다른 특성을 갖는 다양한 조간대 지역에 적용하면 조류로의 발달정도와 환경 인자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idal channel is influenced by sediment type, grain size, grain composition and tidal currents in tidal flat. The development of tidal channel including density, shape and order can b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channel.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to the tidal channel is insufficiency. In this paper, we represented the fractal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ly analysis in tidal channel and compared with the different intertidal channel patterns. The tidal channel was extracted from the IKONOS image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anghwa-do. We used the Box-counting method to estimate fractal dimensions for each tidal channel. As a result, the fractal dimension values (D) were 1.31 in the southern Kanghwa-Do. Linear pattern and less dense channel development area had low D values (from 1.0563 to 1.0672). Dendritic pattern and dense channel development area had high D values (from 1.2550 to 1.3016). In other words, fractal dimension values had difference about 0.2 valu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idal channel development. We concluded that fractal analysis can be able to quantitatively classification in tidal channel.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순진, 2005. 프랙털 차원을 이용한 지질공학적 지구 조구 설정 기준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유주형, 우한준, 유홍룡, 안유환, 2004. EOC를 이용한 강화도 갯벌 조류로와 퇴적상과의 관계 연구, 2004, GIS/RS 공동춘계학술대회, 한국과학기술회관, March 26: 475-479
  3. 우한준, 제종길, 2002.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4: 331-343 https://doi.org/10.4217/OPR.2002.24.4.331
  4. 차상화, 권기욱, 2001. GIS를 이용한 하천유역의 프랙탈 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60
  5. 최한우, 장태우, 1999. 모량단층 주변 절리의 분포 특성과 프랙탈 해석, 지질공학학회지, 9: 119-134
  6. 신정환, 장태우, 2001. 포항분지지역에 발달하는 단열의 프랙탈 분석, 한국암석학회 2001년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pp.111-114
  7. Angeles, G. R., 2004. Fractal analysis of tidal channels in the Bahia Blanca Estuary (Argentina), Geomorphology, 57: 263-274 https://doi.org/10.1016/S0169-555X(03)00106-5
  8. Mandelbrot, B. B., 1983. 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 Freeman, New York
  9. Iqnacio, R. I. and Rinaldo, A., 1997. Fractal River basins: Chance and Self-Organization.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pp 547
  10. Okubo, P. G. and Aki, K., 1987. Fractal Geometry in the San Andreas Fault System, J. Geophys, Res., 92: 345-355 https://doi.org/10.1029/JB092iB01p00345
  11. Rodriguez-Iturbe, I. and Rinaldo, A., 1997. Fractal River Basins: Chance and Self-Organization, Cambridge Univ. ress, Cambridge, pp.547
  12. Turcotte, D. L., 1992. Fractals and Chaos in Geology and Geophysic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pp.275
  13. Xiaohua Z., Yunlong C., and Xiuchun Y., 2004. On Fractal Dimension of China's Coastlines, Mathematical Geology, 36: 447-461 https://doi.org/10.1023/B:MATG.0000029299.02919.f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