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for Practical use as a Learning Diagnostic Assessment Instruments through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한 학습 진단평가도구로의 활용성 분석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In order to be efficient in teaching, a teacher should understand the current learner's level through diagnostic evalu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major issues arising from the noble diagnostic assessment tool based on the theory of knowledge space.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is actualizing the theory of knowledge space for practical use.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is very advantageous when a certain group or individual student's knowledge structure is analyzed especially for strong hierarchical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physics, chemistry, etc. Students' knowledge state helps design an efficient teaching plan by referring their hierarchical knowledge structure.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can be enhanced by computer due to fast data processing. In addition, each student's knowledge can be improved effectively through individualistic feedback depending on individualized knowledge structure.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diagnostic assessment test for measuring student's learning outcome which is unattainable from the conventional examination. The diagnostic assessment test was administered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by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The analyzed results show that students' knowledge structure after learning found to be more structured and well-defined than the knowledge structure before the learning.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평가결과로부터 얻을 수 없었던 집단별, 개인별 정보를 끄집어 낼 수 있는 평가도구를 소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 중고등학생들에게 적용 가능하며, 학생들의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학습준비도 및 학습진전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식상태분석법의 활용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마찰전기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개발된 평가문항에 대하여 지식공간론을 적용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평가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습전 학생들의 지식상태는 문항간 위계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고, 예상위계도에 비해 학생들의 마찰전기에 대한 지식상태가 비구조화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후에는 학습 전보다는 좀 더 세분화되고 구조화된 위계 관계로 지식상태가 변화했음을 볼 수 있었다. 학습후에 얻어진 학생들의 위계도를 이용하여 학습전 학습자 집단 혹은 학습자 개인의 지식상태를 분석할 수 있었고, 학습전 학생들의 지식상태와 학습후의 지식상태를 비교하여 학생들이 학습한 과학개념의 구조를 가시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학습전후 진단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식상태분석법을 학습 진단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2). 지식공간론 입문, 대전: 도서출판 보성
  2. 교육인적자원부 (1998).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 정의 개요 교육인적자원부 홈페이지(http://www.nre.go.kr ) 에서제공
  3. 구윤모, 김범기 (1992). 논리사고 수준과 문제 맥락 에 따른 물리 개념의 위계구조. 물리교육, 10(2), 105-113
  4.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후 정진우, 최병순(2005) 과학교육론
  5. 권재술, 최병순, 김찬종 (1998).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18권 제4호, pp.601-615
  6. 김동원, 손기준 (1988). 교육의 심리적 이해, 창지사 pp.113-120
  7. 김창식, 이화국, 권재술, 김영수, 김찬종 (1993). 과학학습평가. 교육과학사
  8. 박상태, 변두원, 육근철, 정점순 (2005) 과학영재 선발시험에서 지식상태분석법을 통한 새로운 평가 방법 모색, 영재교육연구, 15(1), 37-48
  9. 변두원, 정인철, 박달원, 노영순, 김승동 (2004). 수학교육에서 평가결과에 기초한 개별화 학습과정의 위계 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3(1), 75-85
  10. 성태제(1996).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양서원
  11. 유선경, 이미정 (2003). 교수방법의 효율화를 위한 웹기반 진단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6(3), 197-205
  12. 정진우, 조선형, 임청환 (1996). 과학개념의 위계적 분석 및 그 적용을 통한 교수 효과와 과학교육과정 계 열성의 타당화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1-12
  13. AAAS(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Project 206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4. Doigncn. J. & Falmagne. J. (1999). Knowledge Spaces, Berlin, Germany: Springer-Verlag
  15. Hiebert. J. & Lefevre. P. (1986).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in mathematics: An introductory analysis, In J. Hiebert (Ed.),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case of mathematics, (pp. 1-27). Hillsdale, NJ: Er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