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교과서 및 과학 교사, 고등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분석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ce Views of Science Textbook, Science Teacher an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 : 2007.12.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 및 고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10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표현된 관점과 함께 탐색해 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북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과학교사 1명과,10학년 남학생 18명,여학생 11명이다. 연구에서 과학의 본성에 해당하는 3가지 주요 영역인 과학의 정의,과학의 발달,과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과학의 정의 영역에서 교과서는 귀납주의적 관점을 나타내었고,교사는 반증주의적 관점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업에서 교사는 교과서대로 귀납주의적 관점을 학생들에게 제시하였고,이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관점도 귀납주의로 나타났다. 과학의 발달 영역에서 교과서는 짧은 지면을 할애하여 상대주의적 관점을 나타내고,교사의 관점도 상대주의로 분석되었으나,교과서의 내용처럼 교사의 설명도 매우 간략한 형태로 학생들에게 제시되었다.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관점은 교사의 수업이나 교과서의 영향을 받지 않은 귀납주의로 나타났다. 과학적 방법 영역에서 교과서와 교사가 반증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수업에서도 반증주의적 관점이 나타내었다. 그 수업 후 학생들의 관점 또한 반증주의적 관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의 사고가 수업의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추후 연구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science views of science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views expressed in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The subjects were a high school science teacher, 18 male students and 11 female students in a 10th grade class located in Gyeongbuk Province,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three main categories of the nature of the science: the definition of scienc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he method of science. I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extbook had an inductivism point of view, and that the teacher had a falsificationism point of view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science. However, the teacher presented the inductive point of view of the textbook in the class. After the class, the students showed an inductive point of view. In terms of scientific development, the textbook represented a relativism point of view briefly, and the viewpoint of the teacher also expressed relativism. The teacher taught briefly from the relativism point of view, as in the textbook. The viewpoints of the students were inductivism and were not affected by the textbook or the explanations of the teacher. In terms of scientific methods, the viewpoints of the textbook and the teacher were falsificationism, and the teacher represented falsificationism views in her classes. The views of the students also showed falsificationism after their classes. However, before conclusions can be made, it is necessary to find concrete proof of the teaching effect on the viewpoints of the students in continuing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2000).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교육인적자원부 (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과학.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김성애 (2005). 과학적 방법론에 의한 과학철학적 관점을 검사하는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권성기, 박승재 (1995). 교육대학생의 과학의 본성 개념과 구성주의 학습관의 연관성 및 변화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04-114
  5. 박승재, 조희형 (1999). 교수- 학습이론과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6. 박진희 (2003). 화학교사들이 전기화학에서 가지고 있는 개념의 어려움과 원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진희, 김동욱, 백성혜 (2004). 다니엘 전지를 구성하는 염다리의 역할에 대한 고등학생, 화학교사, 그리고 예비 과학 교사들의 개념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44-555
  8. 백성혜 (2000). 가설 설정 능력이 추리 능력과 구분되어야 하는 이유. 화학교육, 27(4), 42-48
  9. 백성혜, 김윤기, 최은희, 김성애 (2005). 고등학생과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49(5), 503-512
  10. 백성혜, 조미정 (2005).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끊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73-786
  11. 소원주 (1998).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과 과학 서술 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신일철, 신중섭 역 (1985). 현대의 과학철학. 서울:서광사
  13. 신중섭 역 (1987). 논리실증주의의 과학철학과 새로운 과학철학. 서울: 서광사
  14. 이돈희 (1985). 교육철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5. 임소희 (2002). 과학사를 이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장병기 (1995). 과학 수업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초등과학교육혁신을 위한 국제학술심포지움 및 하계학술논문발표회, 35-49
  17. 정완호, 권재술, 김대수, 김범기, 신영준, 우종옥, 이길재, 정진우, 최병순, 황원기 (2002). 고등학교 과학. 서울:교학사
  18. 조은영 (2001) 중,고등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조희형, 박승재 (1994). 과학론과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0. 최경희, 김숙진 (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 313
  21. 최은희(2005) 고등학생과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하성자, 김범기, 백성혜 (2005). 어는점 내림 현상에 대한 교과서 내용 및 중등 과학 교사들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88-97
  23. 한지숙, 정영란 (1997).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19-125
  24. 홍상욱, 임은경, 장명덕, 정진우(2004). 해석적인 서술방식으로 구성된 과학 읽기 자료가 고등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4(2), 234-245
  25. AAAS (1993). Project 2061: Benchrn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6. Akerson, V. L., & Abd-El-khalick, F. S. (2005). How should I know what scientists do - I am just a kid: Fourth grade students' conception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7, 1-11
  27. Akerson, V. L., & Morgan, L. V. (2006). Teaching natue of science explicitly in a first-grade internship set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4), 377-394 https://doi.org/10.1002/tea.20132
  28. Koulaidis, V., & Ogborn, J. (1988). Use of systemic networks in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5), 497-509 https://doi.org/10.1080/0950069880100503
  29.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4), 331- 359
  30.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7
  31. Nort, M.,, & Wellington, J. (1993).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An activity for science teachers. School Science Review, 75(270), 109-112
  32. Wang, H. C. (1998). Science in historical perspectives: A content analysis the history of science in secondary school physics textbooks. Dc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33. Ziman, J. (1984). An instruction to science stud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