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xperimental Learning Using Small-Scale Chemistry on Scientific Achievement, Dur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Small-Scale Chemistry를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성취도, 파지효과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윤진녀 (부산대학교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
  • 문성배 (부산대학교)
  • 발행 : 2007.12.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erimental learning using Small-Scale Chemistry (SSC) o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SSC experiments were devised for 5 experiment themes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Two classes were chosen from a high school in Busan and adopted into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one group with thirty-four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an experimental learning using the SSC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group with thirty-sev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the traditional learning (comparison group). The major discoveri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xperimental learning using SSC h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science achievement of the students. Also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in the test which was conducted after a month to find out the durability of the experiment. Thus, the learning using SSC is assumed to be durable.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tific attitude between the two groups. It seemed that the learning using SSC had a good influence on fanning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In conclusion, an experimental learning using SSC has a positive effect on scientific achievement, the dur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of the students. We hope to develop suitable and various experimental learning materials using the SSC program that can be adopted in the classroom soon.

본 연구의 목적은 SSC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주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몇 가지 SSC 실험들이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5가지 실험 주제에 대하여 고안되었다. 부산에 있는 고등학교의 두 학급을 선정하여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배치하였다. 34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은 SSC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에 참가하였고, 37명으로 이루어진 비교집단은 전통적 실험수업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SSC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은 과학성취도 면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갖게 한다. SSC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은 파지효과가 있다. 둘째,SSC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은 과학적 태도 면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갖게 한다. SSC를 활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형성에 좋은 영향을 준다. 결론적으로 SSC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적극 개발하여 현 교실에 적용할 필요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에 앞으로 학교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을 만큼 적합하고 다양한 SSC를 활용한 자료가 개발되는 것은 물론,실제 적용되어 현 수업의 질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2002). 고등학교 9종 과학 교과서
  2.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환호, 최병순, 정진우(2002).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3. 김영채 역(1986). 학습심리학. 서울:박영사
  4. 김정훈(2005). 고등학교 화학수업에서 구조화된 동료 교수활동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박국태(2005).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화학반응속도 측정을 위한 기본적인 실험의 분석 및 개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9(1), 105-111 https://doi.org/10.5012/jkcs.2005.49.1.105
  6. 박종윤 외 21명 역(2005), Small-Scale Chemistry 중등 화학 실험서. 경기도: 자유아카데미
  7. 송명석(2001).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영어 학업 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지, 7(1), 89-111
  8. 심병주(2005). 물질지도에서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의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유미현, 윤희숙, 홍훈기(2006).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의 효과. 대한화학회지, 50(3), 256-262 https://doi.org/10.5012/jkcs.2006.50.3.256
  10. 윤진녀(2004). Small-Scale Chemistry 실험의 적용헤 관한 연구. 제 50회 전국 과학전람회 작품설명서. 국립중앙과학관
  11. 윤진녀, 이지화, 문성비(2007). Small-Scale Science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이 중 1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1-8
  12. 이문원, 노태희, 채광표, 전성용, 정대영, 허성일, 최병수, 박희송, 김출배, 김경호, 권석민, 강석진, 김진만, 김규상(2002). 고등학교 1학년 과학. 서울: 금성출판사
  13. 이영미(1997),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장상호(1994). Polany:인격적 지식의 확장. 서울: 교육과학사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4
  16. Bradley, J. D.(1999). Experiences de Microchimie: Manuel del 'Erseignant, UNESCO/IUPAC-CTC., Magister Press: Moscow
  17. Gogolin, L. & Swartz, F.(1992).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quiry into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of Nonscienc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5), 487-504 https://doi.org/10.1002/tea.3660290505
  18. IUPAC.(2000). Report of the Education Strategy Development Committee, 8
  19. Thompson, S. (1989). Cbemtrek, Prentice-Hall: New Jersey
  20. Waterman, E. L. & Thompson, S.(l995). Small-Scale Chemistry Laboratory Manual, New York: Addison-Wes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