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and the Development of Acute Renal Failure in Asphyxiated Neonates

신생아 질식 환아에서 저산소성 허혈 뇌증의 정도와 급성신부전 발생과의 연관성

  • Park, Sung-Shin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
  • Chung, Su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
  • Song, Jun-Hyuk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
  • Kim, Sun-K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
  • Cho, Byoung-So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
  • Kim, Sung-D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 박성신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성훈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송준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선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조병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성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Purpose :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acute renal failure(ARF) in birth asphyxia and to correlate the severity of asphyxia and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 and ARF in asphyxiated neonates. Methods : Data was retrospectively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of 33 patients with neonatal asphyxia and of 33 neonates with no asphyxia. On the basis the 5-minute Apgar score, the asphyxiated neonates were further grouped into mild(6 or 7), moderate(4 or 5), and severe asphyxia(3 or less). Asphyxiated neonates with HIE were staged by the Sarnat and Sarnat scoring system. We compared serum creatinine, blood urea nitrogen, electrolytes, and urine output on day 3 of life an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IVH) between each group. Results : ARF occurred in 8(24.2%) asphyxiated neonates. Of these, 3(37.5%) were oliguric, while 1(10.0%) patient with mild asphyxia, 2(18.2%) of moderate asphyxia, and 5(41.7%) with of severe asphyxia had ARF(P>0.05). One(25%) patient with stage I HIE, 4(50%) with stage II HIE, and 3(75%) of HIE with stage III HIE developed ARF(P<0.01).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asphyxia and HIE stage. One(7.7%) patient with grade 1 IVE, 0(0.0%) with grade 2 IVH, 2(66.7%) with grade 3 IVH, and 2(100.0%) with grade 4 IVH had ARF(P<0.01). Mortality was higher in asphyxiated neonates with ARF(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liguric and non-oliguric renal failure. Conclusion : We found that the greater the degree of HIE, the higher was the incidence of ARF. Asphyxiated neonates with ARF had a poorer prognosis.

목적 : 급성신부전은 질식 신생아의 사망률과 신경학적 예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신생아 질식 환아에서 급성신부전의 발생률을 알아보고, 질식과 저산소성 허혈 뇌증의 정도와 급성신부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신생아 질식으로 진단 받은 환아 33명과 임신 기간과 출생체중으로 짝지어진 환아 33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5분 아프가 점수에 의해 신생아 질식의 정도를 경증(6 또는 7), 중등도(4 또는 5), 중증(3 이하)으로 세분하였으며, Sarnat and Sarnat stage에 의해 저산소성 허혈 뇌증의 단계를 분류하였다. 생후 3일에 측정한 혈청 크레아티닌, 혈액요소질소, 전해질 수치와 소변배출량, 혈뇨와 단백뇨 유무에 대한 기록을 검토하였다.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 받은 뇌실 내 출혈의 유무와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질식군 8명(24.2%)에서 급성신부전이 발생하였다. 이 중 3명(37.5%)이 감뇨성 급성신부전을 보였다. 경증 질식 1명(10.0%), 중등도 질식 2명(18.2%), 중증 질식 5명(41.7%)에서 급성 신부전이 발생하였다(P>0.05). 뇌증 1단계 1명(25%), 뇌증 2단계 4명(50%), 뇌증 3단계 3명(75%)에서 급성신부전이 발생하였다(P<0.01). 5분 아프가 점수에 의한 질식의 정도와 저산소성 허혈뇌증 단계와의 통계학적 연관성은 없었다. 뇌실내 출혈 1단계 1명(7.7%), 2단계 0명, 3단계 2명(66.7%), 4단계 2명(100%)에서 급성신부전이 발생하였다(P<0.01). 급성신부전이 발생한 집단에서 발생하지 않은 집단보다 사망률이 더 높았다. (P<0.05). 감뇨성과 비감뇨성 급성신부전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저산소성 허혈 뇌증이 심할수록 급성신부전 발생률이 높았으며, 급성신부전 발생 집단에서 예후가 더 좋지 않았다. 저산소성 허혈 뇌증환아에서 급성신부전을 조기에 진단하여 적절한 수액 및 전해질 공급을 하여야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