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Emotion Design to Office Space in 21st

21세기 업무공간의 감성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한지연 (경원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신홍경 (경원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is study is 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office environment so that digital technologies may adapt to the rapidly progressing social structure in a flexible way, investigate the interior composition of the changing office space and the element and direction of design and then present the indoor environment appropriate to it with the desirable alternative to the emotional office. The recognition of emotionality becomes so important that it is called 'emotional society'. Emotional design, which is mostly concern about user's consensus & experiences and in the space, is appeared on office. Emotional design is understanded from a interactive point of view, human and interior-space. The important factors of this study are light, color, immateriality and fun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otional design by analysis of multifarious spaces. Office space Is designed emotional and experienced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이순요.양선모 공저, 감성공학, 청문각, 서울, 1999
  2. 믹스 뮐러, 알로이스 할더, 철학소사전, 강성위 옮김, 이문출판사, 1998
  3. 정대현, 감성의 철학, 대우 학술 총서, 1996
  4. 김명석.백승화.강명지.이상원, 금속가구의 사용자 니즈 분석 및 감성평가에 관한 연구, 포항산업과학 연구원 (RIST), 한국산업디자이너 협회(KAID)에서 수행한 연구 보고서, 2001
  5. 오영근, 공간디자인에서의 감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인간의 '몸'과 '움직임'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4
  6.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001
  7. 김종성, 오피스 역사와 변천, 건축학회지, 1997.4
  8. 오승남, 지각과 인지를 바탕으로 한 실내공간의 빛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6
  9. 色色가지 세상, 한국색채학회
  10. Karl H.E.Kroemer and Anne D.Kroemer, 나건 옮김, Office Ergonomics, 2006
  11. 성도재,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 이론을 바탕으로 본 현대의 외장표현 경향에 관한연구, 부경대 석논, 2003
  12. 김지은, 업무특성에 따른 오피스 색채 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논, 2003
  13. 조지연, 비영역적 업무공간의 평가모델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