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gnetic Properties of Cr-Doped Inverse Spinel Fe3O4 Thin Films

Cr 치환된 역스피넬 Fe3O4 박막의 자기적 특성

  • 이희정 (건국대학교 물리학과, 차세대 무선 전원 센터) ;
  • 최승리 (건국대학교 물리학과, 차세대 무선 전원 센터) ;
  • 이중한 (건국대학교 물리학과, 차세대 무선 전원 센터) ;
  • 김광주 (건국대학교 물리학과, 차세대 무선 전원 센터) ;
  • 최동혁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
  • 김철성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By substituting Cr in inverse-spinel $Fe_3O_4,\;Cr_xFe_{3-x}O_4$ thin film samples were prepared by sol-gel spin-coating method and their structural electronic, and magnetic properties were analyzed. X-ray diffraction indicates that the lattice constant decrease with increasing Cr composition (x).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occupation of octahedral sites by $Cr^{3+}$ ions with smaller ionic radius than that of $Fe^{3+}$ Vibrating sample magnetometry measurements on the samples at room temperature revealed that saturation magnetization ($M_s$) decrease by Cr substitution, explainable by comparing spin magnetic moment among the related transition-metal ions. A decrease of magnetoresistence effect with x was observed, similar to that of $M_s$. The coercivity of the $Cr_xFe_{3-x}O_4$ films was found to increase with x, attributed to the increase of magnetic anisotropy by the existence of octahedral $Cr^{3+}(d^3)$.

역스피넬 산화물 $Fe_3O_4$에 Cr을 치환하여 얻어지는 $Cr_xFe_{3-x}O_4$ 박막 시료들을 졸-겔 스핀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그 구조적, 전자기적 특성들에 대한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X선 회절 측정 결과, Cr 성분비가 증가함에 따라 격자상수가 소폭 감소하는 것이 관측되었다. 이는 Fe 이온에 비해 이온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Cr 이온이 +3의 이온수를 가지고 8면체 자리를 치환하는 것으로 설명 가능하다. 시료들에 대한 진동시료자화를 측정한 결과, Cr 성분비 증가에 따라 포화자화량이 $Fe_3O_4$에 비하여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8면체 자리의 $Fe^{3+}(d^5)$$Cr^{3+}(d^3)$ 나타내는 스핀 자기능률 값의 비교를 통하여 설명 가능하다. 또한, 자기저항 효과도 Cr 성분비 증가에 따라 포화자화량과 유사한 추세로 감소하였다. $Cr_xFe_{3-x}O_4$ 박막 시료들의 보자력은 Cr 성분비 증가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는데, 이는 $Cr^{3+}$ 이온의 8면체 자리 치환에 따른 자기 이방성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 M. D. Coey, A. E. Berkowitz, Li. Balcells, F. F. Putris, and F. T. Parker, Appl. Phys. Lett., 72, 6 (1998)
  2. B. D. Cullity, 'Elements of X-ray diffraction' second ed.,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78)
  3. H. N. Ok, L. S. Pan, and B. J. Evans, Phys. Rev. B, 17, 1 (1978)
  4. R. D. Shannon, Acta Crystallogr., Sect. A, 32, 751 (1976) https://doi.org/10.1107/S0567739476001551
  5. B. Zhau, Y.-W. Zhang, Y.-J. Yu, C.-S. Liao, C.-H. Yan, L.-Y. Chen, and S.-Y. Wang, Phys. Rev. B, 68, 024426 (2003)
  6. C. T. Lie, P. C. Kuo, W.-C. Hsu, I. J. Chang, and J. W. Chen, J. Magn. Magn. Mater., 239, 160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