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mized Radiation Dose of Patients Receiving High Dose Radioiodine(I-131) Therapy

고용량 방사성옥소(I-131) 치료환자의 피폭선량 저감화 연구

  • 이귀원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number of thyroid diseases treated with radioiodine(I-131) is increasing steadily. The sharp increase in patients who require high dose radioiodine therapy greatly increased the need for new therapy rooms. Accordingly, interest in radiation exposure is rising as well, and is a major psychological stress factor for the patient and those who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tient. This study aimed to minimize the radiation exposure on discharge. Based on various previous reports, the decision for discharge should be individualized depending on many factors related to the patient's living or working environment. Educating patients repeatedly on the importance of sufficient oral hydration, while the adequate amount was relative to the patient's individual condition, greatly lowered the detected radiation measurement within the same admission period. In some cases, the period of admission could be abbreviated.

방사성옥소(I-131)를 이용한 갑상선 질환치료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치료병실을 이용해야 하는 고용량 방사성옥소치료 환자의 가파른 증가는 치료병실의 증설과 방사성목소의 이용량을 급속히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방사선 피폭선량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환자의 심적인 부담과 환자 주변의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 피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퇴원시 방사선량률을 낮추고자 노력하였다. 고용량 방사성옥소치료에 따른 여러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치료환자에 대한 퇴원은 환자의 주변환경과 관련한 많은 인자들을 고려한 개별근거로 결정해야 하고, 퇴원시 방사선량률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것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충분하고 적절한 수분섭취에 대한 교육과 실행을 통하여 방사선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아울러 수액을 병행하여 사용하므로서 편차가 거의 없는 방사선량률의 감쇠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하여 같은 격리기간에도 퇴원시의 방사선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격리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방사성옥소를 투여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각 연구대상의 경우 수에 대한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다. 하지만 환자상태에 맞는 충분한 수분섭취와 수액공급은 확실히 방사선량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장기적으로 조사관찰이 필요하며, 치료용량에 따른 여러 환자군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