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Freezing Injuries and Their Effects on Yield of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Wheat (Triticum aestivum L.)

봄철 저온장해가 맥류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구본철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
  • 박문웅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
  • 김기준 (건국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 ;
  • 안종국 (건국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o understand the spring freezing injury symptoms during sensitive growth stage and yield loss of barley and wheat, field tests were done by using vinyl mulching and natural cold weather. The growth stage sensitive were booting, spikelet differentiation and flower organ development stages for both crops. However, barley and wheat differed in their growth responses, in that barley was less affected than wheat. For instance, barley recorded 28 percent dead ears, 10 percent dead plants and 18 percent ear degenerations while wheat recorded higher values of 59 percent, 44 percent and 44 percent,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recorded froze-resistant varieties in both barley and wheat, some showed tolerance as their yields were not affected by freezing stress. The 'Chalbori' cultivars of barley and 'Geurumil' and 'Chokwang' cultivars of wheat recorded steady yields. The yield components of barley and wheat that were greatly affected by freezing stress were the number of spike per square and the number of grain per spike. The major cause of yield loss in Suwon 259 and Kangbori was the number of spike per square but not the number of grain per spike. The study showed, however, that both the number of spike per square and the number of grain per spike were vulnerable to freezing and that which contribute much to yield loss of barley and wheat.

비닐피복을 이용, 보리, 밀 품종의 봄철 저온장해의 대규모 유도와 품종간 차이로 선발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포장의 비닐 피복을 이용한 저온처리시험을 실시하였다. 저온에 대해 보리, 밀 모두 가장 민감한 생육시기는 수잉기였고 영화 분화기 > 화기발육기 순이었다. 같은 생육정도라도 맥종간 장해정도에 차이를 보였는데 보리, 밀 각각 고사이삭비율 28%, 59%, 고사개체비율 10%, 44%, 퇴화이삭비율 18%, 44%였다. 저온장해 저항성 품종은 없었으나 품종간 장해 정도는 차이를 보여 보리에서는 찰보리가, 밀에서는 그루밀, 조광밀 등이 안정적인 수량을 보였다. 저온스트레스는 수량구성요소중 주로 수수와 일수립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리품종중 수원 259호와 강보리 수량이 수수와 밀접한 상관을 보였으나 일수립수와는 상관이 없었다. 밀은 대부분의 품종들이 세 시기 모두 수수와 밀접한 상관을 보였고 생육이 진전된 시기에는 일수립수와도 상관을 보였다. 저온장해에 대한 유전자형을 구분하기 위해 포장에서 비닐피복이라는 간단한 처리에 의해 저온저항성 품종이나 계통의 선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시험기간의 $2{\sim}4$월의 저온내습일수와 온도하강 정도에 변이가 있어 최소 2년 정도의 검정기간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철, 박문웅, 김기준, 안종국, 이춘우, 윤의병. 2003. 맥류의 유수발육기 저온장해유형과 피해기시 분류. 한작지. 48(3) : 252-261
  2. 김석동, 권용웅, 박무언, 하용웅. 1985a. 저온이 맥류의 불임, 화분활력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작물). 27(2) : 114-119
  3. 김석동, 권용웅, 박무언, 하용웅. 1985b. 추파 대소맥의 조기출수에 따른 개화, 등숙 및 수량성변화. 한작지 30(1) : 39-46
  4. 남윤일, 하용웅, 高田寬之. 1983. 맥류의 분얼별 생육상 및 생산 능력의 변이에 관한 연구. 한작지. 28(4) : 439-444
  5. 조장환, 하룡웅, 신만균, 박무언, 윤의병, 남윤일, 유용환, 김석동. 1983. 맥류의 유수 분화 조사기준 및 관리요령. 농촌진흥청. pp. 6-15
  6. 小田奎三郎. 1963. 作物大系 第 2編 変の 生理生態. pp. 1-104. 養賢堂
  7. 戸田正行. 1966.小麥の冷害に關する研究. 第 7 報 障害型冷害 による不稔の早期發見法と 被害防止法について. 日作紀. 35 : 48-53
  8. 戸田正行. 1972. 小麥の冷害に關する研究. 第 10報 開花期前後 の低温による稔實障害の 人爲的作成實驗. 日作紀. 41 : 315­-319
  9. Chen, T. H-H, L. V. Gusta, and D. B. Fowler. 1983. Freezing injury and root development in winter cereals. Plant Physiol. 73 : 773-777 https://doi.org/10.1104/pp.73.3.773
  10. Crescini, F. and A. Tettamanzi. 1929. Sulla resistenza del grano alIi basse temperature. Ital. Agric. 66 : 546-552
  11. Grafius, J. E. 1981. Analysis andimprovement of plant cold hardiness Chapter 8 Breeding for Winter hardiness. pp. 161-174
  12. Livingston, J. E. and J. C. Swinbank. 1950. Some factors influencing the injury to winter wheat heads by low tem­perature. Agron. J. 42: 153-157 https://doi.org/10.2134/agronj1950.00021962004200030006x
  13. Olien, C. R. 1964. Freezing processes in the crown in 'Hudson' barley. Crop Sci. 4 : 91-95 https://doi.org/10.2135/cropsci1964.0011183X000400010028x
  14. Paulsen, G. M., E. Mikesell, and J. P. Shroyer. 1995. Spring freeze injury to Kansas wheat. Kansas state university C-­646. pp. 1-12
  15. Suneson, C. A. and G. L. PeltIer. 1934. Effect of stage of seedling development upon the cold resistance of winter wheats. Jour. Amer. Soc. Agron. 20 : 687-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