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Forest Community of Ulleung Island

울릉도 삼림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 So, Soon-Ku (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 ;
  • Kim, Mu-Yeol (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 ;
  • Park, Jong-Min (Division of Forest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 ;
  • Lee, Sang-Hwa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ry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 ;
  • Park, Gwan-Soo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ry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 ;
  • Song, Ho-Kyung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ry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
  • 소순구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 김무열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이상화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
  • 박관수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
  • 송호경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community and to analyzse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the forest community of Ulleung Island. The forest community of Ulleung Island was classified into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Neolitsea sericea community, Pinus parviflora community, and Fagus multinervis - Sorbus commixta community. Since the results of phytosociological community classification were consistent with that of TWINSPAN, it proved that these two methods could complement when one does a community classifi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chemical characteristic of soil among study communities. The community had high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ompared to forest soil of Korea. The soil pH ranged from 4.66 to 5.80. The soil texture in the study communities was loam or sandy loam. According to the ordination analysis, elevation, exchangeable Na, K, Ca, Mg, soil pH, and content of sand and silt affect the distribution of community.

본 연구는 울릉도의 삼림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울릉도 삼림군락은 곰솔군락(Pinus thunbergii community),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참식나무군락(Neolitsea sericea community), 섬잣나무군락(Pinus parviflora community), 너도밤나무 - 마가목군락(Fagus multinervis - Sorbus commixta community)으로 분류되었다.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는 일치성을 보이고 있어 상호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군락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 전질소, 유효인산, 그리고 양이온 치환용량은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산림토양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토양 pH는 4.66-5.80으로 약한 산성 토양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토성은 양토나 사양토로 나타났다. 삼림군락과 환경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해발고와 치환성양이온(Na, K, Ca, Mg), 토양 pH 그리고 토성 중의 silt와 sand가 군락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무열(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408쪽
  2. 김성덕, 한미정(1994) 울릉도 상록수림지역의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11: 6-28
  3. 농촌진흥청(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202쪽
  4. 박관수, 송호경, 이선(2000) 울릉도 성인봉 주변 너도밤나무 하위군락별 토양 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3): 299-305
  5. 송호경(1990a) DCCA에 의한 계룡산과 덕유산의 삼림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79(2): 216-221
  6. 송호경(1990b) DCCA에 의한 신갈나무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8: 1-5
  7. 송호경, 권기원, 이돈구, 장규관, 우인식(1992) TWINSPAN 과DCCA에 의한 중왕산의 삼림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83(3): 247-254
  8. 송호경, 이미정, 이선(2000) 울릉도 산림 군락의 구조 및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2): 111-118
  9. 송호경, 장규관, 권기원(1994) TWINSPAN과 DCCA ordination에 의한 오대산 삼림군집의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12: 47-54
  10. 송호경, 장규관, 오동훈(1998)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신갈 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환경생태학회지 11(4): 462-468
  11. 신현탁, 김용식(2002) 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환경생태학회지 16(2): 195-216
  12. 양인석(1956) 울릉도의 식물. 경북대 논문집 1: 245-275
  13. 오수영(1971) 울릉도 양치식물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3: 33-41
  14. 오수영(1978) 울릉도산 유관속 식물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 논문집 25: 131-201
  15. 유재은, 송호경(1989) Classification과 Ordination에 의한 속리산 삼림 군집의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7: 1-8
  16. 이덕봉, 주상우(1958) 울릉도 식물상의 재검토. 고대 논문집 3: 223-295
  17. 이미정(2000) 울릉도 산림의 군락 생태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쪽
  18. 이미정, 송호경, 이선(2000)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한 울릉도 산림식생의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57-66
  19. 이영노(1971) 울릉도의 식물상. 울릉도 종합학술조사보고서 27-36pp
  20. 이우철, 양인석(1982)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 61-95
  21. 이우승, 정재동, 홍성천(1986) 울릉도 희귀식물의 분포 및 생태에 관한 연구. 경북대 논문집(자연과학) 41: 1-33
  22. 이중효, 조현제, 허태철(2006)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6): 521-529 https://doi.org/10.5141/JEFB.2006.29.6.521
  23. 임양재, 유광수, 백광수(1980) 울릉도의 식생. 중앙대 기술과학연구소 논문집 7: 1-12
  24. 임양재, 이은복, 김선영(1982) 울릉도와 독도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 97-111
  25. 장규관, 송호경, 김성덕(1997)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한 강원도 신갈나무림의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6(2): 214-222
  26.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27. 조현제, 배관호, 이병천, 홍성천(1993) 울릉도 성인봉 일대 원시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2(2): 139-151
  28. 조현제, 배상원, 배관호, 신준환(1996) 울릉도의 산림식생. 임업연구원 산림과학 논문집 53:78-88
  29. 최송현, 이경재, 김종엽(1998) 울릉도 성인봉지역의 해발고별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3):290-296
  30. 한봉호, 김동완, 조현서(1998) 울릉도 성인봉 원시림의 산림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2):138-146
  31.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3. Auflage. Wien, New York, 865pp
  32. Dierssen, K.(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241 pp
  33. Ellenberg, H.(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 kunde. Eugen Ulmer, Stuttgart, 136pp
  34. Glavac, V.(1996) Vegetationsokologie. Gustav Fischer Verlag Jena, 358pp
  35. Hill, M.O.(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 Y. Cornell Univ. Press, 50pp
  36. Hill, M.O. and H.G. Jr. Gauch(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n 42: 47-58 https://doi.org/10.1007/BF00048870
  37. Kim, S.D.,M. Kimura and Y.J. Yim(1986)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beech(Fagus multinervis Nakai) forest and the pine(Pinus parviflora S. et Z.) forest of Ulleung Island, Korea. Korean J. Bot. 29(1): 53-65
  38. Lim, Y.S., J.O Hyun, Y.D. Kim, and H.C. Shin(2005) Aster chusanensis (Aster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J. Plant Biol. 48(4): 479-482 https://doi.org/10.1007/BF03030590
  39. Miller, H.G. and R.L. Donahue(l990)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J., 768pp
  40. Nakai, T.(1919) Report on the vegetation of the Island Ooryongto or Dagelet Island, Corea, 87pp
  41. Ter Braak, C.J.F.(1987) CANOCO-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c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
  42. Yim, Y.J. and S.D. Kim(1983) Climate-Diagram Map of Korea. Korean J. Ecology 6(4): 261-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