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The Growth Traits of Performance and Progeny Test in Hanwoo(Bos taurus Coreanae)

한우 당대검정우와 후대검정우의 성장형질에 관한 유전모수 추정

  • Ki, K.S. (Dept. of Animal Resources and Bio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T.J.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S.D.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Choi, H.S. (Dept. of Animal Resources and Bio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aik, D.H. (Dept. of Animal Resources and Bio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기근서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최태정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 김시동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 최호성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백동훈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genetic parameter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weight traits of the steers and bulls in the Hanwoo population. The data used were weights and weight gain of performance and progeny test from 6,024 heads of Hanwoo. Data of performance test consisted of total 3,737 heads raised from August, 1989 to September, 2005. The number of the records of progeny test was total 2,287 heads from August, 1996 to June, 2004. The heritabilities and correlations for the body weights at the ages of 6 months, 12 months and 24 months and average daily gain were estimated by DFREML. Overall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body weights at 6 and 12 months of age and average daily gain(ADG) from the data of performance test were 181.72±30.22kg, 351.48±40.24kg, 998.07±153.84g, respectively. Overall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body weights at 6, 12, and 24 month of age and ADG from the data of progeny test were 169.18±32.82kg, 229.37±44.57kg, 570.45±64.36kg and 739.41± 172.14g, respectively. The heritability estimates of the body weight at 6, 12 month and ADG from the performance test were 0.54±0.06, 0.60±0.06 and 0.23±0.04, respectively. The heritability estimates of the body weight at 6, 12, 24 month and ADG from the progeny test were 0.80±0.08, 0.50±0.07, 0.46±0.07 and 0.07±0.03, respectively.

본 연구는 1989년 8월부터 2005년 9월까지 농협중앙회 가축개량사업소에서 당대 검정을 실시한 비거세우 3,904두의 검정 자료와 1996년 8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축산연구소 한우시험장(대관령지소), 유전자원시험장(남원지소), 농협중앙회 가축개량사업소에서 출생한 후대검정 거세우 2,424두의 검정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형질은 당대검정 비거세우(후보우)의 6개월령, 12개월령 체중 및 12개월령 일당증체량과 후대검정 거세우의 6, 12, 24개월령 체중 및 12개월령 일당증체량으로 DFREML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된 당대검정우의 6개월령, 12개월령 체중 그리고 일당증체량은 각각 181.72±30.22kg, 351.48±40.24kg 그리고 998.07±153.84g으로 나타났으며 후대검정우의 6개월령, 12개월령, 24개월령 체중 그리고 일당증체량은 각각 169.18±32.82kg, 229.37±44.57kg, 570.45±64.36kg 그리고 739.41±172.14g으로 나타났다. 당대검정 비거세우(후보우)의 6개월령 체중, 12개월령 체중 및 일당증체의 유전력은 각각 0.54±0.06, 0.60±0.06 및 0.23±0.04 추정되었다. 후대검정 거세우의 6개월령, 12개월령 및 24개월령 체중에 대한 유전력은 0.80±0.08, 0.50±0.07 및 0.46±0.07로 나타났으며 일당증체에 대한 유전력은 0.07±0.03으로 추정되었다. 한우의 당대 검정에 있어서도 기존의 초기성장형질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12개월 이후의 체중에 대한 조사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며 차후 후대 검정우의 체중과 도체형질간의 유전모수 추정 연구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곧 당대와 후대간 체중의 간접적인 비교와 후대의 체중과 도체형질간의 간접적인 비교를 가져올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rnold, J. W., Bertrand, J. K., Benyshek, L. L. and Ludwig, C. 1991. Estimates of Genetic Parameter for Live Animal Ultrasound, Actual Carcass Data, and Growth Traits in Beef Cattle. J. Ani. Sci. 69:985-992 https://doi.org/10.2527/1991.693985x
  2. Baker, R. L., Morris, C. A., Johnson, D. L., Hunter, J. C. and Hickey, S. M. 1991. Result of Selection for Yearling or 18-Month Weight in Angus and Hereford Cattle. Livest Prod. Sci. 29 (1991):277-296 https://doi.org/10.1016/0301-6226(91)90104-X
  3. Bishop, S. C. 1992. Phenotypic and Genetic Variance in Body Weight, Food Intake and Eenergy Utilisation in Hereford Cattle 1. Performance Test Results. Livest Prod. Sci. 30 (1992):1-18 https://doi.org/10.1016/S0301-6226(05)80017-X
  4. Devitt, C. J. B. and Wilton, J. W. 2001. Genetic Correlation between Ultrasound Measurements on Yearling Bulls and Carcass Measurements on Finished Steers. J. Ani. Sci. 79:2790-2797 https://doi.org/10.2527/2001.79112790x
  5. Hirooka, H., Groen, A. F. and Matsumoto, M. 1996. Genetic Parameter for Growth and Traits in Japanese Brown Cattle Estimated from Field Records. J. Ani. Sci. 74:2112-2116 https://doi.org/10.2527/1996.7492112x
  6. Kalm, E., Pabst, W., Lindhe, B. and Langholz, H. J. 1978. Estimation of Breeding Value of Beef Bulls-Hereford and Charolais-Based on Data from the Filed Recording Scheme in Sweden. II. The Relationship and The Heritability of Birth Weight, 200-Day Weight and Yearling Weight. Livestock Prod. Sci. 5(1978):393-403
  7. Lamb, M. A., Robbin, O. W. and Tess, M. W. 1990. Genetic Parameter for Carcass Traits in Hereford Bulls. J. Ani. Sci. 68:64-69
  8. Moser, D. W., Bertrand, J. K., Misztal, I., Kriese, L. A. and Bentshek, L. L. 1998. Genetic Parameter Estimates for Carcass and Yearling Ultrasound Measurements in Brangus Cattle. J. Ani. Sci. 76:2542-2548 https://doi.org/10.2527/1998.76102542x
  9. Mukai, F., Oyama, K. and Kohno, S. 1995.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Test Traits and Field Carcass Traits in Japanese Black Cattle. Livest Prod. Sci. 44(1995): 199-205 https://doi.org/10.1016/0301-6226(95)00069-0
  10. Oikawa, T., Sanehira, T., Sato, K., Mizoguchi, Y., Yamamoto, H. and Babk, M. 2000. Genetic Parameter for Growth and Carcass Traits of Japanese Black (Wagyu) Cattle. Anim. Sci. 71:59-64 https://doi.org/10.1017/S1357729800054898
  11. Tedeschi, L. O., Boin, C, Fox, D. G., Leme, P. R., Alleoni, G. F. and Lanna, D. P. D. 2002.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and Growth of Nellre Bulls and Steers Fed High-Forage Diets. J. Ani. Sci. 80:1671-1682 https://doi.org/10.2527/2002.8061671x
  12. 김내수, 주종철, 송만강, 정정수, 최양일, 박철진. 2002. 한우 거세 및 비거세우의 성장곡선 특성. 동물자원지. 44(5):519-522
  13. 나승환. 1991. 한우의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및 환경요인의 영향.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병호, 나승환, 박영일, 김시동, 최연호, 조용민. 1998. 한우의 성장 형질에 대한 유전력과 유전적 개량 추세의 추정. Ani. Genetics and Breeding. 2(1):41-46
  15. 박철진. 1999. 한우의 성장 및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및 유전적 변화추세의 추정에 판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박철진, 박영일. 2003. 비거세 한우 집단에 있어 성장형질과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의 추정 동물자원지 45(1):23-32
  17. 백동훈, 신원집, 나승환, 정연후. 1985. 한우의 경제형질에 관한 연구. 1. 출생년도 및 계철의 영향. 한축지. 27(7):421-425
  18. 송주엽. 1996. 한우의 체중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과 유전모수 추정.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신언익, 김종복, 한광진, 박영일. 1990. 한우의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의 추청. 한축지. 32(4): 190-197
  20. 신언익, 이문연, 이득환. 1991. 한우의 종모우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1. 증체 및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한축지. 33(12):817-822
  21. 윤호백. 2001. 거세와 비거세 한우의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와 육종가 추정.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2. 윤호백, 김시동, 나승환, 장은미, 이학교, 전광주, 이득환. 2002. 거세한우의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동물자원지. 44(4):383-390
  23. 이성수, 정재경, 박노형, 원유석. 1997. 거세가 한우의 도체특성과 혈청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39(1):145-154
  24. 전기준, 최재관, 임석기, 윤상보, 윤상기, 이창우, 김종복. 1999. 한우 비거세우의 산육능력과 도체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 Ani. Genetics and Breeding. 3(1):15-24
  25. 최연호, 윤호백, 최성복, 정홍우. 2005. 세가지 도축 종료 시점을 공변량으로 하는 한우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능력 분석모형. 동물자원지. 47(5): 703-710
  26. 최재관, 전기준, 이창우, 냐기준, 이채영, 김종복. 2003. 개체모형에 의한 한우의 성장단계별 체중의 유전모수 추정. 동물자원지. 45(5):667-678
  27. 축산연구소. 2006a. 가축개량관련자료. 39-46
  28. 축산연구소. 2006b. 한우 연구 50년.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