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lthough most cases of tension-type headache(TTH) are myogenic headache, in some cases, arthralgia appears, such as the disorder of the temporamandibular joint.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the clinical patterns of arthralgia to those of myalgia, when both symptoms are co-existing. Among 167 patients who visit our clinic during a certain period, whose chief complaint was TTH, 18 patients were the arthralgia group, 50 patients were the myalgia group, and 99 patients who have both arthralgia and myalgia were the arthromyalgia group. Three group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about their age, gender, and oral parafunction such as bruxism or clenching. Then we gathered statistics on the data from the accomplished questionnaires. 1.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ge among the three groups(p=0.02). 2.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x and oral parafunction among the three groups. 3.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yalgia group was older than the arthromyalgia group(p<0.03).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s patients become older, TTH with myalgia happens more frequently than TTH with arthralgia and myalgia does.
일반적으로 긴장성 두통환자는 측두하악부위의 관절통 보다는 근육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지만, 관절통과 근육통이 함께 나타나는 관절근육통을 호소하는 환자도 있다. 따라서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 측두하악부의 관절통과 근육통의 임상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정기간 내원한 환자 중 국제두통학회에서 제시한 긴장성 두통 진단기준에 따라 긴장성 두통으로 진단된 167명 중 관절통 환자 18명, 근육통 환자 50명 그리고 관절통과 근육통이 함께 있는 관절근육통 환자 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이를 통계처리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관절통군, 근육통군 그리고 관절근육통군 모두에서 연령증가에 따른 발현 증가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 2. 관절통군, 근육통군 그리고 관절근육통군 모두에서 성별과 구강악습관에 따른 발현 증가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관절근육통군의 증가율에 비해서 근육통군의 증가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3). 이상의 연구로 긴장성 두통환자의 임상양상 중 관절통, 근육통 그리고 관절근육통은 성별과의 관계와 구강악습관과의 관계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나이와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특히 관절근육통군과 근육통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여 연령이 증가될수록 근육통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향후 긴장성 두통의 진단과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