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Fashion Sensibility and Emotion through Tattoo Fashion

타투 패션에 따른 패션감성과 감정연구

  • Kim, Mi-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Kyo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to planning the design of commercial products and effective image coordination for various situation in investigating the existence of Tattoo with an examination of fashion sensibilities and emotions as well as in analyzing Tattoo fashion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unique image coordinations in the fashion collection. Stimulus pictures have collected from fashion photographs appeared Tattoo expression released on the fashion collection and selected 35 pieces of pictures out of total through the analysing process in many times. Valuation tools have used with 19 pairs of adjective as fashion sensibilities valuation tool and 13 questionnaire as emotion valuation tool.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August 30th to September 17th on the subject of 20's men and women who live in Busan city area and those data has been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summary and conclusion of verified outcomes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ain factors of fashion sensibilities about Tattoo fashion are composed of three factors, such as Attractiveness, Visibility, Maturity and those factors have explained by 60.9%. On the other han, the fashion emotions are composed of negative emotion and positive emotion and explained by 66.3%. 2. The image of Tattoo fashion has shown four groups; Sexy, Romantic, Grotesque, Natural. 3. The positioning according to the image of Tattoo fashion has interpreted that X-axis as Grotesque-Romantic, Y-axis as Simple-Dazzling according to design features.

Keywords

References

  1. 거침없는 개성표현, 문신은 패션이다. (2003. 6. 10). 주간한국 p.47-49
  2. 김애경, 이경희. (2003).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Head Image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대구
  3. 김유진, 이경희. (2000). 의복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따른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7), 976-986
  4. 김유진. (2002). 패션감성과 강정에 대한 의복조형성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861-872
  6. 김은진. (2003). 문신의 시각적 표현특정에 관한 연구-하위 문화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동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정임. (2001). 문신에 나타난 상징성과 표현특정에 관한 연구-바디아트를 증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종주. (1979). 문신에 관한 정신의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18, 420
  9. 김지연, 이경희. (2001). 현대 패션에 나타난 인체 노출의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5), 913-924
  10. 김희정, 이경희. (2001). 현대 패션에 나타난 동양적 복식이미지 연구(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5(5), 861-872
  11. 나는 문신했다, 고로 멋있다. (2003, 6). 시사저널, p.46-48
  12. 다시 만든 패션 문신, 월드컵 보디 페인팅 응원. (2002, 6. 12) 중앙일보, p.7
  13. 동아새국어사전. (1988). 서울: 동아출판사
  14. 박금옥. (1996). 색채와 무늬에 따른 이미지 지각. 건국대학교 생활문화 예술논문, 21,41-54
  15. 박수진. (2001). 19세기 서양 여성의복 패턴과 현대패턴의 비교연구-서양여성의복의 패턴변화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지, 한국의류학회 01 추계학술대회, 57
  16. 박은주, 소귀숙. (2000). 의류제품 구매시 감정적 요인이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4(3), 361-372
  17. 박현희. (2002). 인터넷 패션 쇼핑몰에 대한 감성단어추출과 평가차원 .대한가정학회지, 40(1), 135-146
  18. 박홍삼. (1999). 비행청소년의 신체적 자해행동과 성격특성간 관계: 문신, 자상, 담뱃불, 상흔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손향미, 박길순. (2003). 현대 패션에 표현된 신체장식의 혼성모방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7(8), 981-991
  20.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1998). 연세한국어사전. 동아:두산동아
  21. 유창조. (1999).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에 관한 연구: 유형별 분석과 차원별 분석의 비교. 광고학연구, 10(1), 155-182
  22. 윤정혜, 유영션. (2001). 복식에 나타난 타투룩(Tattoo Look) 패션의 표현특성. 한국목식학회지, 51(3), 87-98
  23. 이경희. (2001). 패션감성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5(3), 537-547
  24. 이관이. (2004). 이상적 여성미와 패션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이수경. (2003). 문신의 에로티시즘을 웅용한 현대 패션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이인자, 이경희, 신효정. (2001) 의상심리. 파주:교문사
  27. 이화순, 황춘섭. (2002). 화장의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에 따른 화장이미지와 자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2(8), 137-149
  28. 이효진. (1999). 현대 서양복식에 나타난 TATTOO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지, 7(4), 52-68
  29. 임원회, 이인자. (2002). 한국전통 복식의 배색 이미지-조선 시대 후기 복식유물을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지, 한국의류학회 02 섬유. 패션산업의비전, 515-516
  30. 임은혁. (2003). 21세기 전환기 하이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펑크룩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53(2), 71-85
  31. 장미라. (2003). Tattoo Design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37, 107-133
  32. 정은숙, 김향수. (2003). TATTOO의 패션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3(2), 153-169
  33. 주소현, 이경희. (1999). 의복, 배경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 (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3(2), 196-207
  34. 주소현. (2003). 여정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한 감성 지표화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5. 차미숭. (1992). 衣服形態와 色彩이미지의 視覺的 評價와 分析.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최선영, 이은영. (1994). 의복착용시 경험하는 감정의 유형. 한국의류학회지, 18(3), 395-409
  37. 피부인가 도화지인가 '문신열풍'. (2003, 6). WEEKLY DONGA 통권389호, p. 36-39
  38. 하수진, 이경희. (1999). 브래지어 디자인에 대한 시각적 감성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3(5), 635-644
  39. Design to thrill. (2002, 12). Vogue Korea, p. 76
  40. Victoria, E. (1998). 신체장식 (The Body Decoration). 임숙자 옮김 (1998). 서울:경춘사

Cited by

  1. The Study on the Tattoo Imag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elf-Esteem vol.17, pp.1, 2013, https://doi.org/10.12940/jfb.2013.17.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