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집단급식소의 위생관리에 대한 실태 조사

  • Soh, Gowan-Soon (Faculty of Biotechnology (Food Science & Technology Major),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uk (Research Center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BioFood Materials) ;
  • Shin, Dong-Hwa (Faculty of Biotechnology (Food Science & Technology Major),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소관순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용석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 소재개발 및 산업화 연구 센터) ;
  • 신동화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A survey on sanitary management at 98 food service institutions located in Jeollabuk-Do were conducted. Food service institutions included 13 hospitals, 38 schools, 40 enterprises, and 7 others. The sterilization in boiling water was used for disinfection of tableware, spoon and chopsticks, and dish towel. Cooking kit, refrigerator, chopping board, and knife were sterilized with disinfectant. Frequency of sanitary training program on employees was 56.1% for 1 time/month, 12.2% for 2-3 times/month, and 11.3% for 1 time/week. Preparing ratio of defrosting, warehouse and rest room, and washing and sterilization diary were 73.8, 60.5, and 54.5%, respectively. However, checking ratio of environments (9.5%), personal sanitation (10.8%), and sanitary training program diary(8.4%) were low. Major obstacle factors on the introduction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into food service institutions were lack of equipment and facilities (54.1%) and lack of understanding and data on HACCP system (17.3%).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outbreak of food-borne diseases increasing frequency, we estimated that the introduction of sanitary management system and the conversion of dietician' perception on sanitary managements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were needed.

전라북도내 사업체, 병원, 학교,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급식소 설치 신고를 한 집단급식소 98개 업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집단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식기 기구 및 용품의 소독 방법은 식기, 수저, 행주의 경우 열탕 소독이, 주방기기, 냉장고, 냉동고, 도마, 칼의 경우 소독제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위생복(34.4%), 위생모(34.4%), 냉장고(32.6%), 냉동고(31.8%)의 순으로 소독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위생교육 횟수는 월 1회가 56.1%로 가장 많았고, 월 2-3회 12.2%, 주 1회 11.3%순 이었다. 집단급식소의 일지 작성율은 해동일지(73.8%), 창고 및 화장실 점검일지(60.5%), 기구 등의 세척 및 살균 일지(54.5%),등의 순으로 많이 작성되었고, 조리장 위생관리 점검표(9.5%), 조리 종사자 위생점검 일지(10.8%), 위생교육 일지(8.4%) 등은 작성율이 낮았다. HACCP 제조 도입시 급식시설과 설비의 부족(54.1%)과 HACCP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17.3%)이 주요 장애 요인이었다. 주방기기 및 기구 취급, 개인위생, 급 배수 시설 및 쓰레기 처리, 건물의 구조, 배치 및 시설관리에 대한 위생관리는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집단급식소의 영양사들은 종사자의 개인위생과 급 배수 시설 및 쓰레기 처리에 대한 위생관리에 대해서는 잘 인식하고 있었으나 주방기기 및 기구 취급과 건물의 배치 및 시설의 위생 관리에 대해서는 인식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는 식중독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위생관리 체계의 도입과 위생관리에 대한 영양사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용욱, 김종규: 우리나라의 식중독 발생동향 조사연구 -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 215-237 (1987)
  2. 이용욱, 김종규: 우리나라의 식중독에 관련된 문헌고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4, 199-256 (1989)
  3. 지근억: 식중독의 원인균, 증상 및 예방. HACCP 관리법 교육과 사례연구 워크샵 자료집,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43-53 (2001)
  4. http://www.cdc.gov/: (2006.12)
  5. Bauman, H.E.: The HACCP concept. and microbiological hazard categories. J. Food Technol., 28, 30-38 (1974)
  6. www.kfda.go.kr (2006.12)
  7. KFDA HACCP 기술지원센타: HACCP 지정업소 현황 (2006)
  8. 양재승: 식품의 안전성과 HACCP. 식품과학과 산업, 30, 172-180 (1997)
  9. 홍종해, 이용욱: 식품접객업소의 위생개선을 위한 검사항목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 HACCP 모델을 이용한 기여인 자 분석방법으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7, 33-45 (1992)
  10. 박천옥: 위생 검열상 조리장의 환경위생관리-시설, 설비, 주방내 청소 등 작업과정에서-. 국민영양, 60, 9-13 (1984)
  11. 류은순, 장혜자: 단체급식소 급식종사자의 위생습관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1, 274-281 (1995)
  12. 곽동경, 홍완수, 문혜경, 류경, 장혜자: 서울지역 학교급식 위생관리 실태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6, 168-177 (2001)
  13. Almeida, R.C., Kuaye, A.Y., Serrano, A.M. and de Almeid, P.F.: Evaluation and control of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hands in food handlers. Rev. Saude. Publica, 29, 290-294 (1994)
  14. Paulson, D.S.: Evaluation of three handwash modalities commonly employed in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Dairy Food and Environ. Sanit., 12, 165-173 (1992)
  15. Farkas, D.: Creatind awareness. Food Manage, 31, 100-104 (1996)
  16. Albrecht, J.A, Summer, S.S. and Hemmeman, A.: Food safety in child care facilities. Dairy Food and Environ. Sanit., 12, 740-746 (1992)
  17. 곽동경, 박경해: 서울 시내 요식업소의 위생 상태 및 급식 되는 음식의 미생물적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식품위 생안전성학회지, 1, 121-131 (1986)
  18. 장윤경: 급식 종사자의 위생훈련. 영양사 보수교육자료집, 대한영양사회, 59-77 (1997)
  19. 윤석인, 계승희. 김영찬, 정은영: 식품위생에 관한 교육홍보 를 위한 연구, 한국식품화학회지, 6, 293-310 (1991)
  20. 천석조: 식품종사자의 개인위생관리. 식품공업, 19, 21-27 (1993)
  21. Smith, K.: An Evaluation of Food safety training using videotaped instruction. Foodservice Res., 12, 41-50 (2000) https://doi.org/10.1111/j.1745-4506.2000.tb00003.x
  22. Bryan, F.L.: Teaching HACCP techniques to food processors and regulatory officials. Dairy Food and Environ. Sanit., 11, 562-568 (1991)
  23. 곽동경, 조유선, 이혜상: 탁아기관 급식관계자 대상 위생교육 효과평가.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9, 251-260 (1994)
  24. Longree, K. and Armbruster, G.: Quantity food sanitation. A Wiley-interscience Pub. Inc., (1987)
  25. 계승희, 문현경, 정해랑, 황성희, 김우선: 한식제공음식업소 의 위생 및 시설 조사연구(II).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0, 1-10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