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Fashion Design to Mobile-Phone Game Character's Dress Design

모바일폰 게임 캐릭터 의상 디자인을 위한 패션 디자인 활용연구

  • Lee, Min-S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angmy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fashion design to developing dress design of mobile-phone game charact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first, market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extract main images from dress designs of game characters and to understand their socio-cultural meanings. Second, the fashion design, which ran be compared to the extracted images of game characters were selected. Third, analyses were done to find out the gap between the game character's dress designs and the fashion designs. The main images of game characters are revealed as erotic, romantic, heroic, grotesque. These images have been formed by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effects such as stimulation, empathy, compensation, increase of female game play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ame character's dresses and the fashion designs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style, game dresses have silhouette distinguished from background, but fashion collection have blurred silhouette. In the aspect of color, while strong colors are mainly used in game dress, neutral rotors are preferred in fashion collection. As for texture, the expression of 'textures in game character's dress is so far limited due to the insufficient level of the concerned technology. However, the fashion design applying drape of fabrics are well-developed. Mobile-phone game players want reality in game design. Therefore, the effort to overcome the gaps between game dress and fashion design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game character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게임산업 TREND 2004-1, p.12
  2. 네이버 사전. http:/kr.yahoo.com
  3. 박태순 (1998). 디자인용어사전
  4. 김창현, 방기천 (1999). 사이버 캐릭터 모델링. 한국멀티미디어학회, 3(1), p. 30
  5. 김일석 (2000). 기호론적 관점에서의 Character Illustration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11
  6. 김미영 (2005).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나타난 신체와 복식의 표현 유형과 미적 특성. 복식문화연구, 13(3), p. 425
  7. 서정립 (2005). 가상공간 캐릭터 의상에 나타난 미적 특성. 동명정보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8. 서정립, 진경옥 (2004). 가상 공간 게임에 나타난 사이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4(3), p. 103
  9. 오현주 (2004). 게임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공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2
  10. 하봉준 (1995). 광고정보. 서울: 한국방송광고공사, p. 37
  11. 조윤호 (2005). 상호작용 채널로서의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1
  12. 조윤호 (2005). 상호작용 채널로서의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5
  13. 백철호 (2004). 게임 캐릭터 변천의 문화적 연관성. 게임산업저널, 2004년 가을호 통권 6호, p. 45
  14. 용대순 (2001). 게임 디자인 기법에 관한 연구 -재미 요소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15. 용대순 (2001). 게임 디자인 기법에 관한 연구 -재미 요소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16. 용대순 (2001). 게임 디자인 기법에 관한 연구 -재미 요소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5
  17. 백철호 (2004). 게임 캐릭터 변천의 문화적 연관성. 게임산업저널, 2004년 가을호 통권 6호, p. 52
  18. 백철호 (2004). 게임 캐릭터 변천의 문화적 연관성. 게임산업저널, 2004년 가을호 통권 6호, p. 53
  19. 2003년 게임백서 (2003). 서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 Fredel, Markus, 염태선 역 (2003). 온라인 게임기획 & 인터랙티비티. 서울: 정보문화사, p. 404
  21.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
  22.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6
  23. Cooper, J.C. 이윤기 역 (1994). 그림으로 보는 세계 문화 상징 사전. 서울: 까치, p. 77
  24. Cooper, J.C. 이윤기 역 (1994). 그림으로 보는 세계 문화 상징 사전. 서울: 까치, p. 168
  25. Cooper, J.C. 이윤기 역 (1994). 그림으로 보는 세계 문화 상징 사전. 서울: 까치, p. 150
  26.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4
  27.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8
  28. 유수미, 이재정 (2001). 디자인 매너리즘 극복으로서 그로테스크 과잉의 엽기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 디자인학회지, 1(1), p. 178
  29. 서영철 (2000). 포스트모던 세기말: 죽음(의 공포). 새한영어영문학, 42(2), pp. 455-487
  30. 남미현, 박명희 (2004).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4(8), pp. 153-154
  31. 서정립 (2005). 가상공간 캐릭터 의상에 나타난 미적 특성. 동명정보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5-56
  32.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3
  33. 유은옥 (2003). 2000년대 초반 로맨틱 스타일의 장식적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34. 유은옥 (2003). 2000년대 초반 로맨틱 스타일의 장식적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1
  35.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
  36. 김성곤 (1997). 김성곤 교수의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서울: 웅진출판, p. 43
  37. 김성곤 (1997). 김성곤 교수의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서울: 웅진출판, p. 47
  38. 남미현, 박명희 (2004).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4(8), p. 154
  39. 백철호 (2004). 게임 캐릭터 변천의 문화적 연관성. 게임산업저널, 2004년 가을호 통권 6호, p.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