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aylight condition of the apartment houses -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aylight condition between the plank type and tower type apartment complex -

아파트 단지의 일조환경 실태 연구 - 판상형과 탑상형 아파트 단지의 일조상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the daylight condition of the existing and the newly planned apartment complex due to the azimuth angle, and throughout that result, presenting the necessity of new concept of architectural law for apartment complex design in the matter of daylight condition. For this purpose selecting one apartment complex which showed typical shape of '=' or 'ㅁ', 3D daylight analysis was applied for the existing condition. And then after new complex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law, additional 3D analysis on the daylight with the various conditions were accomplished. This 3D analysis for daylight condition can give accurate results and design direction which are suitable for the new complex plan of apartment houses.

본 연구에서는 3차원적인 일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판상형과 탑상형의 기존 아파트 단지의 일조 현황 실태를 일차적으로 분석하고 일반적인 주택 배치를 현행주택법을 적용하여 단지계획을 하는 경우에 일조 상태가 어떠한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동안 우리 아파트 계획의 대부분을 이루어 온 판상형 아파트 단지가 나름의 장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조, 조망 그리고 경관이 건축적, 도시관점에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켜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판상형과 탑상형의 일조 특성에 따른 장단점과 일조관련 현행 법 규정의 한계를 분석, 파악하고 판상형의 일조적 단점을 보완해줄 대안으로서의 탑상형 아파트의 계획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의 범위가 한정되어 분석된 결과이므로 탑상형의 일방적인 계획이 아닌 판상형의 장점과 탑상형의 장점을 살린 주동 계획의 연구, 또한 탑상형의 주동 평면 형식별로 다양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일조, 조망, 도시경관을 적극적으로 고려한 계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