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해 무인도서 중 목도, 곡두도, 대항도, 불근도 관속식물의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n the Mokdo, Gokdudo, Daehangdo and Bulgeundo Desert Island, Dadohae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생물산업연구소) ;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생물산업연구소)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earch Institute of Bioindu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eon, Mu-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earch Institute of Bioindu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02.28

초록

본 연구는 남해안 무인도서 가운데 목도, 곡두도, 대항도, 불근도의 관속식물과 식생 현황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을 조사함으로써, 현재 관리와 이용 실태에 따른 식물 변화를 예측하고 차후 무인도서의 식물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전체 관속식물은 80과 193속 234종 32변종 5품종 1교잡종으로 총 272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과 귀화율은 12종류와 4.4%로 분석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V등급에 4분류군이, III등급에는 10분류군이, II등급에는 5분류군이, I등급에는 35분류군의 총 54종류가확인되었으나 V등급에 해당되는 특정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목도에서는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일본특산식물로 알려져 왔던 부추속(Allium)의 갯부추(Allium pseudojaponicum)가 30개체 이상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곡두도는 밀사초(Carex boottiana)가 큰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대항도는 우리나라에서도 큰 면적 중 하나일 것으로 추측되는 후박 나무군락이 전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불근도에서는 2003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참식나무와 후박나무 등 수백개체를 식재하였으나 과거에 방목된 토끼로 인해 많은 개체가 고사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these sites were listed 272 taxa; 80 families, 193 genera, 234 species, 32 varieties, 5 forms and 1 hybri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2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4.4%.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54 taxa; 4 taxa in class IV, 10 taxa in class III, 5 taxa in class II, 35 taxa in class I. There is no taxa in class V. A peculiar point is that we found more than 30 Allium pseudojaponicum in Allium genus which is known as Japanese endemic plant. In Gokdudo, there is large Carex boottiana community, in Daehangdo,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covers the whole island. In Bulgeundo, most of the hundreds of trees including Neolitsea sericea and Machilus thunbergii planted by Korea National Parks in 2003 have been damaged by rabbi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문홍, 김찬수, 이상태. 1985. 추자도의 유관속식물상. 한국자연 보호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5: 71-90
  2. 김태욱, 김삼식. 1979. 거제도 인근 6개 도서에 대한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14: 35-58
  3. 김철수, 양효식. 1989. 안마군도의 식생. 한국자연보호중앙회. 자 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9: 119-155
  4.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한국생물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5. 내무부. 1996. 도서통계. 내무부
  6. 박규하. 1987. 백령도, 대청 소청도의 식물상. 한국자연보호중 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7: 137-169
  7. 박선주, 박성준. 2004. 소록도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 392-398
  8.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 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pp. 184
  9.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보존지침 및 대 상식물- pp. 140
  10. 선병윤, 김현. 1988. 외연열도의 식물상. 한국자연보호중앙회. 자 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8: 83-114
  11. 이일구, 이호준. 1982a. 덕적군도의 식물생태. 한국자연보호중앙 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1: 57-84
  12. 이일구, 이호준. 1982b. 완도인근도서의 식물생태. 한국자연보호 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2: 101-126
  13. 이일구, 이호준, 변두원. 1988. 외연열도의 식물생태. 한국자연보 호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8: 115-162
  14. 이정석, 김승영. 1984. 거문도 인근 도서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연 보호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4: 55-96
  15. 이정석, 김춘식. 1986. 흑산군도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연보호중 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6: 135-168
  16. 이정석, 유한춘. 1989. 안마군도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연보호중 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9: 91-118
  17. 이정석, 이용보. 1983. 조도지구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연보호중 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3: 79-128
  18. 이창복. 1980. 신안군 도서지역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조 사보고서 16: 31-65
  19.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20. 이창복, 김은식, 장진성. 1982. 덕적군도의 식물상. 한국자연보호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1: 87-116
  21. 이호준. 1983. 조도지구의 식물생태. 한국자연보호중앙회. 자연 실태종합조사보고서 3: 35-78
  22. 이호준, 김종홍, 김창호. 1986. 흑산군도의 식물생태. 한국자연보 호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6: 89-134
  23. 이호준, 변두원. 1987. 백령도, 대청 소청도의 관속식물 분포와 생태. 한국자연보호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7: 83- 136
  24. 이호준, 변두원, 김종홍, 김인택. 1984. 거문도 백도지역의 식물 생태. 한국자연보호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4: 97- 134
  25. 전승훈. 1997. 특정식물종 평가 및 조사지침. 환경부 pp. 216
  26. 정영호, 김기중. 1982. 완도 인근도서에 대한 녹지자연도의 사정. 한국자연보호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2: 273-305
  27. 정영호, 김기중, 선병윤. 1985. 추자군도의 녹지자연도 및 식물 상. 한국자연보호중앙회.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5: 171- 212
  28. 정재민, 홍경락. 2002. 우리나라 무인도서의 지리적 환경과 식물 의 분포 pattern 사이의 상관성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5(5): 341-348
  29. 최혁재, 김윤영, 고은미, 장창기, 오병운. 2006. 부추속(부추과) 미 기록 식물 1종: 갯부추.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6(1): 53-59
  30.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5. 해양수산동향(제1173호). 한국해양 수산개발원 pp. 10
  31. 환경부. 1999a.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전라남도 진도군, 고흥군-. 환경부 pp. 136
  32. 환경부. 1999b.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식물구계학적 특 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pp. 62-89
  33. 환경부. 2000.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전라남도 완도1-. 환 경부 pp. 189
  34.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pp. 160
  35. Chown, S. L., N. J. M. Gremmen and K. J. Gaston. 1998. Ecological biogeography of Southern ocean islands:Species-area relationships, human impacts, and conservation. The American Naturalist 152: 562-575 https://doi.org/10.1086/286190
  36. Kadmon, R. and H. R. Pulliam. 1993. Island biogeography:Effect of geographical isolation on species composition. Ecology 74(4): 977- 981 https://doi.org/10.2307/1940467
  37. Whittaker, R. J., 1995. Disturbed island ecology. Tree 10: 421-425 https://doi.org/10.1016/S0169-5347(00)891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