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희귀식물 나도승마(범의귀과)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The Ecology of Kirengeshoma koreana Nakai (Saxifragaceae), a Rare Species in Korea

  • 강신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 ;
  • 김건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 ;
  • 김진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 ;
  • 박상홍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 ;
  • 이원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 ;
  • 이중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
  • Kang, Shin-Ho (Natural Medicines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
  • Kim, Geon-Rae (Natural Medicines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
  • Kim, Jin-Ki (Natural Medicines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
  • Park, Sang-Hong (Natural Medicines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
  • Lee, Won-Kyu (Natural Medicines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
  • Lee, Joong-Ku (Natural Medicines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 발행 : 2007.02.28

초록

한반도 희귀식물인 백운산 나도승마 자생지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지의 식생은 전형적인 온대남부의 참나무림으로서 토양습도는 높고, 아고산지역의 평평한 지역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는 동아시아에만 한정적으로 분포하는 나도승마 보전을 위한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장기생태 관측을 통한 연구를 통하여 보전지구로의 지정 등의 보전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vegetation of habitats of a Korean rare plant Kirengeshoma koreana Nakai at Mt. Baekun was investigated by phytosociological approach. The vegetation of investigated area shows typical southern-temperate Quercus forest. The humidity of soil was high and the ground of locality was flat area of sub-alpine. These investigated area is very important for conservation of a rare plant, Kirengeshoma koreana that is limited in this area. Therefore, sustainable conservation strategy such as designation of conservation area should be prepared urgently by the results of long-term monitoring studies.

키워드

참고문헌

  1. Australian Nature Conservation Agency. 1994. Action plants and recovery plan funding proposal. Guideline for endangered and vulnerable species and ecological communities
  2. Bames, B.V. 1993. The landscape ecosystem approach and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Update 10: 13-19
  3. Bohm, B. A. 2000. Flavonoids of Kirengeshoma Yatabe. Biochem. Syst. Ecol. 26: 363-364 https://doi.org/10.1016/S0305-1978(97)00110-5
  4. Chang, C. S., K. Hui. and Y. S. Kim. 2001.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 J. Plant Tax. 31: 107-142 https://doi.org/10.11110/kjpt.2001.31.2.107
  5. Environmetal Agency of Japan. 2000. Threatened Wildlife of Japan. Japan Wildlife Research Center. Tokyo
  6. Falk, D.A. and P. Olwell. 1992. Scientific and policy consideration on reintroduction of endangered species. Rhodora 94: 287-315
  7. Grime, J.P. 1988. The C-S-R model of primary plant strategies: origins, implications, and tests. Plant Evolutionary Biology (eds L.D. Gottlieb & S.K. Jain), pp. 371-393. Chapman & Hall, London
  8. IUCN. 2000. http://www.redlist.org
  9. Lucas, G and H. Synge, 1980. Plant Red Data Book, IUCN
  10. Naito, K. and N. Nakagoshi. 2004. The conservation ecology of Pulsatilla cernua (Thunb.) Spreng. (Ranunculaceae), an endangered species in Japan. In The Proceedings of 35th Symposium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Vegetation Science (IAVS). App. Veg. Ecol. 35: 263-269
  11. Naito, K. and N. Nakagoshi. 2005. The conservation ecology of Iris rossii Baker (Iridaceae), a threatened plant in Japan. J. Plant. Res. 108: 477-482 https://doi.org/10.1007/BF02344237
  12. Wilson, E.O.C. 1992. The diversity of life. Harvard Univ. Press
  13. 김갑덕, 김재생. 1983. 백운산 삼림군집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서 울대 농대 연습림 보고 19: 1-19
  14. 김갑덕, 김태욱, 김준선. 1991. 전남 백운산 벌채지역의 삼림생태 계 천이에 관한 연구(I) 전남 백운산 북사면 천연림 개체군 분 포 및 군집의 천이. 서울대 농대 연습림 보고 27: 54-64
  15. 김갑덕, 김태욱, 이경재, 박인협. 1982. 백운산지역 천연림의 물 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 농대 연습림 보고 22: 1-9
  16. 김의경, 윤여찬, 손철호. 1995. 백운산 자연생태계 보호지역에 있 어서 임업적 이용 생태계 보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농과 대학 부속연습림 연구보고 5: 75-83
  17. 김종홍, 이석면. 1990. 백운산 삼림식생의 유형분석. 순천대학교 기초과학연구 1: 163-170
  18. 김태욱, 김준선, 장석모. 1992. 전남 백운산 벌채지역의 삼림생태 계 천이에 관한 연구(III) 전남 백운산 남사면 천연림의 군집 구조 및 신갈나무 개체군분포. 서울대 농대 연습림 보고 28: 1- 12
  19. 김계환, 박종민. 1998.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순비기나무군락의 생육환경 및 형태적 특성. 환경생태학회지 12: 91-101
  20. 김용식. 1998. 우리나라 미선나무 집단의 생태적 특성 및 형태적 특성. 영남대학교부설 자원문제연구소 논문집 17: 67-81
  21. 김종원, 남화경. 1996. 해당화의 최남단 자생군락지. 계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15: 149-156
  22. 박종민. 1998. 변산반도 내 후박나무군락의 서식환경 및 생육실 태에 관한 조사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2: 242-252
  23. 이석우, 김성찬, 김원우, 한상돈, 임경빈. 1997. 희귀수종 모감주 나무 자생집단의 잎의 형태적 특성-식생특성 및 유전변이-. 한국임학회지 86: 167-176
  24. 이영노. 1996.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25. 이우철. 1996. 원색한국식물기준도감. 아카데미서적
  26. 이유미, 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도감. 중부임업시 험장
  27.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8.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상, 하권). 향문사
  29. 임형탁.홍행화. 1999. 백운산(순천 광양)과 인근산지의 식물 상. 순천.광양지역의 자연생태 조사보고서. 환경부
  30. 전라남도. 2005. 전라남도 통계정보시스템. www.jeonnam.go. kr/statistics
  31. 정진철, 장규관, 송호경, 안영환. 1999. Ordination과 classification에 의한 백운산의 산림군락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 생태학회지 13: 244-253
  32. 정태현. 1957. 한국식물도감(상, 하권). 신지사
  33. 최도열. 2001. 한국식물전문가그룹 뉴스레터. 14: 2-6
  34. 환경부. 1994. 특정야생동 식물 화보집
  35. 환경부. 1998. 환경백서. 환경부
  36. 환경부. 2005. 환경부 홈페이지. www.m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