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Planning Technique for Considering Biotope Evaluation of Housing Development Districts

택지개발지구에서의 비오톱 평가에 기초한 환경생태계획 기법 연구

  • Lee, Soo-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inju National University)
  • 이수동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Since 1990, urban areas have been expanded rapidly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and several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large scale apartment complexes and residential developments. Due to these development projects, the quality and functions of ecosystems have been continuously degraded, regardless of public agencies' efforts introducing development index, guideline, and amendment of law for sustaining the quality of ecosystems. Substantial guideline and content cannot expect the sustainable maintenance of nation's natural resources. Recent improve this situation, ecological planning was introduced, but research data of environments and objective systems were not enough showing the limi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duce the urban sprawl caused by residential development plans for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developments, to establish applicable ecological planning, and to suggest the land use plans that reduce adverse effects of developments to nature ecosystem.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2002)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체계의 연계방안 연구
  2. 권전오(2003)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 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종원(2004) 녹지생태학. 서울: 월드사이언스
  4. 김학열, 황윤재, 고덕윤, 유완(2002) 택지개발사업의 토지이용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pp 25-26
  5. 나정화(1997) 한 . 독간의 자연환경보전볍 비교분석(I)-목적, 기본원칙, 침해규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 15(1): 69-91
  6. 나정화, 류연수(2003) 도시경관계획 지표 설정 및 중요도 평가.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38(1): 21-35
  7. 노태욱, 박헌주, 최막중, 이상대, 서순탁(2000) 국토 난개발의 제도적 개선 방안. 도시정보 222: 4-18
  8. 박석두, 김홍상(2000) 도시지역 농지의 이용과 정책과제.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
  9. 서울특별시(2000) 도시생태 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1차년도 연구보고서
  10. 서울특별시(2001) 도시계획 환경성 검토 지침
  11. 서울특별시(2003) 도시관리계획 환경성 검토 및 토지적성 평가 업무편람
  12. 신범식(1991) 재건축에 의한 노후 아파트의 거주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4: 103-113
  13. 신유항, 박규택, 남상호(1983) 한국동식물도감 제27권 동물편 (곤충류 IX), 서울: 문교부
  14. 양병이(1997) 지속가능한 지표에 의한 우리나라 주거단지의 환경친화성 평가에 관한 연구 -수도권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32(2): 89-106
  15. 양병이, 이관규(2002)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계획 및 설제단계에서의 아파트단지의 환경적 지속가능성평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37(5): 27-37
  16. 양홍모(1997) 자연 및 인간 환경이 공존하는 지역의 환경계획에 있어 생태계 모형 접근.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32(4) : 21-40
  17. 엄붕훈, 우형택(1999) 한국형 전원주택단지의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1): 64-78
  18. 오충현(2001) 서울의 도시생태계 관리를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용인시(2001) 용인시 도시기본계획(2016)
  20. 윤소원 이동근, 김창석, 정회성, 조덕호(1999) 지속가능한 도시의 평가규모 개발에 관한 이론적 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34(6): 145-159
  21. 이경재,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1990)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I) -Classification 및 Ordimation 방법에 의한 식생 분석. 응용생태연구 4(1): 33-43
  22. 이경재, 한봉호, 이수동(2004) 서울 남산도시자연공원의 비오톱 구조 및 생태적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2(5): 102-118
  23. 이동근, 전성우(1997) 도시지속성지표 구축을 위한 개념적 연구 -환경적 지속성 지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6(1): 33-45
  24. 이상대, 송인주(2002) 우리나라 공간계획과 환경계획간 연계 체제 및 실태분석. 대학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37(7): 29-43
  25. 이용각(2001) 용적율 하향조정에 의한 소규모 주택 재건축의 경제성 분석 연구-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재준, 권용우(2002)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환경 친화적인 주택단지건설의 방향. 지리학연구 36(2): 89-100
  27. 이재준, 이상문(2001) 환경친화적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성 평가 및 평가지표 적합성 판단 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36(2): 7-17
  28. 조우(2003) 도시자연공원의 보전 및 개발 계획을 위한 생태평 가 방법의 적용-인천시 문학공원을 대상으로-. 대한국토 . 도시 계획학회지 38(3): 21-37
  29. 최송현(1996) 산림생태계의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녹지의 자연성평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30. 최영국, 이승복, 박인권, 김현수, 변병설(2002) 국토계획과 환경 계획체계의 연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보고서
  31. 최진우(2004) 녹지축의 야생조류 이동과 서식처 기능강화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0) 환경친화적 도시개발사업 추진을 위한방향설정연구
  33. 환경부(2000) 사전환경성검토 업무편람
  34. 환경부(2001) 친환경척인 도시계획을 위한 환경성검토 협의 업무편람
  35. 桵井信夫(1972) 東京都23區内の2-3の綠地における繁殖鳥類 の年變化につして:都市生態系の特性に關する基礎的硏究. 東京:東京都
  36. 入間市(1996)入間市の野鳥
  37. 井手久登, 武内和彦(1985)自然立地的 土地利用計劃.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38. Helliwell, D. R. (1969) Valuation of wildlife resources, Regional Studies 3: 41-47 https://doi.org/10.1080/09595236900185051
  39. Hudson. W. E.(1991) Landscape Linkages and Biodiversity. Washington, D.C.: Island Press
  40. Jefferson. R. G. and M. B. Usher(l986) Ecological succession and the evaluation of nonclimax communities. In M B. Usher, ed, Wildlife Conservation Evaluation. New York: Chapman and Hall Ltd. PP. 69-91
  41. Kirby, K(1986) Forest and woodland evaluation. In M B. Usher, ed, Wildlife Conservation Evaluation. New York: Chapman and Hall Ltd. pp. 201-222
  42. MacArther, R H and E. O. Wilson(1967)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Marsh, W. M(1983) Landscape Planning: Environmental Applications.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44. McIntosh, R. P. (1986) The Background of Ecology-Concept and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Noss, E. D. and L. S. Harris(1986) Nodes, networks and MUMS: preserving diversity at all scales. Environmental Management 10: 299-309 https://doi.org/10.1007/BF01867252
  46. Primack, P. B.(1995)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Sunderland MA: Sinauer Associate Inc
  47. Ratcliffe, D. A.(1971)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nature reserves. Advancement of Science, London 27: 294-290
  48. Ratcliffe, D. A.(1977) A nature conservation review.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Sukopp, H. and S. Weiler(1986) Biotopkartierung im besiedelten bereich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Landschaft +stadt 18(1): 25-38
  50. Tans, W. (1974) Priority ranking of biotic natural areas. Michigan Botanist 13: 31-39
  51. Wilcove, D. S., C. H. McLellan, and A. P. Dobson(1986)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temperate zone. In M. E. Soule, ed., Conservation Biology: the Science of Scarcity and Diversity. Sunderland MA: Sinauer Associates Inc. PP. 237-256
  52. Wittig, R. and K. Schreiber(1983) A quick method for assessing two importance of openspace in town for urban nature conserv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26: 57 -64 https://doi.org/10.1016/0006-3207(83)900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