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U-Healthcare 인증방안 연구

  • 김재성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바이오인식정보시험센터) ;
  • 김영준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바이오인식정보시험센터)
  • 발행 : 2007.02.28

초록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인식 정보 기술(얼굴, 정맥, 지문, 홍채)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Ubiquitous-Healthcare(U-HC)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용자 인종 메커니즘과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U-HC 서비스에 태동 및 특징, 국내외 산업현황, 기대효과 등을 통해 U-HC서비스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지능화 및 고도화된 기술을 통하여 개인 정보를 악의적인 의도로 유출하여 개인에게 육체적 정신적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바이오인식은 이러한 피해를 막고 보안 및 프라이버시 측면의 취약점 및 공격들을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방어함으로서 개인의 의료정보 및 바이오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대응책인 새로운 사용자 인증과 암호화 기법이다. 사용자 인증 기법은 다수의 바이오 정보들을 인증 시에 무작위로 선택하여 2개 이상 입력하는 방안이며 암호화 기법은 사용자 스토리(Story)식 암호화(Encryption) 기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효율적이며 신뢰 성 있는 U-HC 서비스를 보장하고자 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전계록, '고령친화 U-Health Care 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혁신체계 구축,' 부산대학교병원 RIS사업단
  2. 김진태, 권영미, 'RFID와 ZigBee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U-Health 시스템 구현,'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 43권 TC편 제1호, Jan 2006
  3. 손미숙, 'U-Health 서비스 지원을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1권 제3호 June 2006
  4. 이정환, '유비쿼터스 센서기술과 u-Health,' www.fkii.or.kr
  5. U-Health 시장 현황 및 전망,' MindBranch Asia Packfic Co. Ltd, Oct 2005
  6. http://www.sktuhealth.co.kr
  7. 지경용, '국내 U-city에서 u-Health 사업 환경 분석,' 네트워크 경제연구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5
  8. 송지은, 김신효, 정명예, 정교일, 'U-헬스케어 보안 이슈 및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1호 Feb 2007
  9. 김재성, '생체인식시스템 표준적합성 및 보안성 평가모델,' 박사학위논문, Aug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