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ing in Place를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fare Service of the Elderly People for Aging in Place

  • 발행 : 2007.02.25

초록

As the aging of this society, instead of growing numbers old protective functions of familie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tendency of nuclear families, increasing rates of females' participation of economic activities. Now, the problem of supporting the old is in need of social supporting system the cope with this situation. Thus it needs that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who stay at home that have local basis. The results are based on these factors are like this: 1) It is necessarily the instruction of medical welfare service. 2) The overlapped service is avoided and the service of specialized. 3) Most of the welfare service institution is Seoul and local city hall, so it needs the institution is transferred. 4) It needs the increase the number of home helper. 5) When the service is offered, the government must considers finance, elderly health condition and preference. 6) It needs the department for the welfare service for the old who stay at hom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주(2005), 재가노인복지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령화 및 미래사회 위원회(2004), 고령사회에 대비한 주거환경 개선방안
  3. 고영진(2003), 저소득층노인의 재가노인 서비스욕구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강대석사논문
  4. 김경혜.노연희(1995), 노령인구를 위한 재가서비스 확대 방안. 서울시정개발원
  5. 박재간(2002), 서구사회의 노후생활과 복지정책. 한국 노인문제연구소
  6. 보건복지부(1999), 노인복지국고보조사업안내
  7. 보건복지부(2000), 재가노인복지시설현황
  8. 상형종(1992), 노인과 주거. 산업도서출판공사
  9. 유엔의 권고안(2002), 고령화 관련 국제행동계획과 노인을 위한 유엔원칙권고 19조, 22조
  10. 이수일(2005),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발전방안. 중앙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연숙(2002), 노인복지를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12. 이혜영(2000), 케어복지론. 양서원
  13. 이혜원(1999),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사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14. 홍보선(1999), 고령화사회와 노인복지 . 세종출판사
  15. 홍형옥 외 6인(2004), 노후에는 어디서 살까. 지식마당
  16. 통계청 (2000), 인구주택총조사
  17. 한국소비자보호원(1998), 가정 내 노인 안전사고 실태조사결과
  18. 보건소 대표 사이트 http://chc.mohw.go.kr/
  19. 사회복지관협회 http://kncsw.bokji.net/
  20. 노인복지관협회 http://www.kaswc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