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H of Stream Water in the Regrowth and Rehabilitation Forested Catchments, South Korea

개벌 재생림유역과 사방지 혼효림유역에서 강수시 계류수의 부유물질농도 및 전기전도도와 pH 변화

  • Jun, Jaehong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yongha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oo, Jaeyun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oi, Hyung Tae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eong, Yongho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전재홍 (국립산림과학원 임지보전과) ;
  • 김경하 (국립산림과학원 임지보전과) ;
  • 유재윤 (국립산림과학원 임지보전과) ;
  • 최형태 (국립산림과학원 임지보전과) ;
  • 정용호 (국립산림과학원 임지보전과)
  • Received : 2006.10.12
  • Accepted : 2006.11.08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he qualities of the stream water vary during the event in the regrowth and rehabilitation catchments in Yangju, Gyeonggido, from June to September 2005.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s, we sampled the stream water continuously by an auto-sampler (ISCO, 6712FR). The sampled waters were analyzed for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H. The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during the event increased concurrently with the stream flow. The peak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usually precedes the peak flow. The maximum value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was 420.89 mg/l in the event 1 at the regrowth catchment. Among the events simultaneously sampled at both catchments, the maximum values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were 212.8 mg/l and 58.24 mg/l in the event 3 at the regrowth and rehabilitation catchment respectively. The maximum value of EC in each event showed in the early stage of rising limb. EC decreased during the rising limb, and then showed minimum value at peak flow. EC gradually increased to pre-event value after minimum one. pH varied in similar pattern with EC. The maximum value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during each event was 2.8 to 4.3 times higher at the regrowth catchment than at the rehabilitation catchment. And the EC during each event was higher at the regrowth catchment than at the rehabilitation catchment. This results indicate that a disturbed forest soil during clear cutting at regrowth catchment still has been unstable.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문 유역시험지인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한 개벌 재생림유역과 사방지 혼효림유역에서 2005년 6월에서 9월까지 3회의 강우사상에서 자동 물시료채취기(ISCO, 6712FR)를 이용해 채수한 계류수 시료에 대해 부유물질농도, 전기전도도 및 pH를 측정하여 강우시 계류수의 수질 변화와 개벌의 영향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부유물질농도는 강우에 의한 계류수 유출 증가와 함께 높아지기 시작하였으며, 첨두유출이 나타나기 전 증수부에서 최고치를 보이다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부유물질농도 최고치는 개벌 재생림유역에서만 채수된 event 1에서 420.89 mg/l로 가장 높았으며 두 유역에 같이 측정된 강우사상의 경우에는 8월 24일부터 채수된 event 3에서 개벌 재생림유역(212.8 mg/l), 사방지 혼효림유역(58.24 mg/l) 모두 높게 나타났다. 총강수량이 많거나 강우강도가 높으면 부유물질농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유출량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유출량에 대한 부유물질농도의 관계는 주로 시계방향의 이력현상(clockwise hysteresis)을 나타내었다. 전기전도도는 강우에 의해 유출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기 시작하여 첨두유출시에 최저치를 나타낸 후 유출량이 감소함에 따라 서서히 평시 수준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H도 전기전도도와 마찬가지로 강우시작과 함께 증수부에서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첨두유출 부근에서 최저치를 보인 후 유출량이 감소하면서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개벌 재생림유역 계류수의 부유물질농도가 사방지 혼효림유역에 비해 2.8~4.3배 높았으며 전기전도도도 사방지 혼효림유역에 비해 개벌 재생림유역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개벌에 의해 교란된 산림토양의 영향이 현재까지도 나타나는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진,정용호,김경하,정창기,전재홍,유재윤. 2004 황폐복구지의 강우유출이 계류수의 전기전도도 및 주요 음이온의 단기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3(7) 464-470
  2. 김진관,양동윤,김주용,박종관. 2004. 유량-탁도 관계를 이용한 산지 소하천에서의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1(3): 25-36
  3. 박종관. 1994. SRC Method에 의한 산지 소유역의 부유 토사 유출량 산정. 한국지형학회지 1: 17-31
  4. 안영상,조희두,오광인,채정기,전근우. 2003 산림 소유역에 개설된 임도가 부유토사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2(1): 19-26
  5. 정용호,김경하,정창기,전재홍,유재윤. 2004. 산림소유역에서 산불이 계류 수량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3(7): 446-452
  6. 정용호,박재현,윤호중,김경하. 2000. 전나무림,잣나무림 유역에서 산림의 수질정화기능에 미치는 산림시업 영향(III) -임외우,수관통과우,수간류의 pH와 전기전도도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9(2): 223-231
  7. 허우명,권상용,김영길,이원호,김범철. 2005. 용담호 소유역별 인 및 부유물질 유입부하량 산정. 한국육수학회지 38(3): 322-333
  8. Kunze,M.D. and J.D. Stednick. 2006. Streamflow and suspended sediment yield following the 2000 Bobcat fire, Colorado. Hydrological Processes 20: 1661-1681
  9. Ryan, P.A. 1991. Environmental effects of sediment on New Zealand streams: a review.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25: 207-221 https://doi.org/10.1080/00288330.1991.9516451
  10. Sammori, T., Z. Yusop, B. Kasran, S. Noguchi and M. Tani. 2004. Suspended solids discharge from a small forested basin in the humid tropics. Hydrological Processes 18: 721-738 https://doi.org/10.1002/hyp.1361
  11. Whitehead, P.G., S. Bird., M. Hornung., J. Cosby., C. Neal. and P. Paricos. 1988. Stream acidification trends in the Welsh Uplands-A modelling study of the Llyn Brianne catchments. Journal of Hydrology 101: 191-212 https://doi.org/10.1016/0022-1694(88)90035-2
  12. Williams, G.P. 1989. Sediment concentration versus water discharge during single hydrologic events in rivers. Journal of Hydrology 111: 89-106 https://doi.org/10.1016/0022-1694(89)90254-0
  13. Winston, W.E. and R.E. Criss. 2002. Geochemical variations during flash flooding, Meramec River basin, May 2000. Journal of Hydrology 265: 149-163 https://doi.org/10.1016/S0022-1694(02)001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