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Journal Writing on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력 향상에 대한 저널쓰기의 효과

  • Received : 2007.08.29
  • Accepted : 2007.11.26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effect of journal writing on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Would the journal writing experiences improve reflective think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50 sophomores in junior college, J city, and they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group had journal writing experiences for 8 week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Journal writing activity revealed positive effect on reflective thinking level improve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Keywords

References

  1. 고문숙(1994). 반성적 사고조장교수방법이 유치원예 비교사의 자기 평가와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4(2), 97-115
  2. 고문숙(1995). 유치원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 적용 경험이 교사의 반성적 사고능력과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정숙(2002).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반성적 사고수준과 교수능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천(2002). 네 학교 이야기. 서울: 문음사
  5. 나승일, 정철영, 박동열(2002). 이해선, 전문대학 학생의 학습능력과 교육 요구, 한국직업교육학회지, 24(3), 91-106
  6. 박은혜(1996). 반성적 사고와 유아 교사교육. 유아교육연구, 16(1), 175-192
  7. 박은혜(1999). 유아교사 교육에서 저널쓰기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 교사교육, 16(2)
  8. 석은조(2006).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안부금(2002). 유아과학 교수실제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87-114
  10. 유승연(2000).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을 통한 예비교사의 유아과학 교수방법에 대한 방법에 대한 반성적 사고증진과 전문성 함양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1), 163-184
  11. 유흥옥(2005)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치원 교육실습과 예비교사의 발달적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엄은하(2007).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진로탐색행동과의 관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세나(2005).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반성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세나.이영석(2005).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반성적 사고수준과 반성적 사고과정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247-274
  15. 이영석.이세나(2004). 유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소고: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229-254
  16. 이춘자(2003). 웹 토론방을 통한 수업사례 토론에서 유아교사의 사고과정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정현숙(2002).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연구. 상지영서 대학교 논문 제21집
  18. 조희경(2004). 다중지능포트폴리오 활용을 통한 장애유아 통합학급 교사의 반성적 사고의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수란(2006).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수준 및 교수행동 변화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황보영란(2002). 창의성 증진의 유아교육학적 접근의 탐색, 세계화 시대의 유아교육. 서울: 창지사
  21. Adler, S.(1991). The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7, 139-150 https://doi.org/10.1080/0260747910170203
  22. Dewey, J.(1993) How we think: Boston: D. C. heath and company
  23. Galvez-Martin, M., Bowman, C., & Morrison, M.(1998). An exploratory study the level of reflection attained by pre-service teachers. Mid-Western Educational Researcher, 11(2), 9-18
  24. Garrison, D. R.(1992). Crit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adult education : An analysis of responsibility and control issues. Adult Education Quarterly, 42. 136-148 https://doi.org/10.1177/074171369204200302
  25. Hansen, C. B.(1998). Using reflective portfolios as a tool to teach writing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project for pre-service teachers. Reading and Writing Quarterly, 14(3), 11-20
  26. Killion, J., & Todnem, G.(1991).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 build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14-16
  27. Kyzar, W.(1994). A qualitative study of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and reflective thinking during th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Langer, G. M., & Colton, A. B. (1994). Reflective decision making: The cornerstone of school reform. Journal of Staff Development, 13(1), 2-7
  28. Lather, P.(1986). Issues of validity in openly ideological research. Interchange, 17(4), 63-84 https://doi.org/10.1007/BF01807017
  29.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ralistic inquire. California : Sage Publications, Inc
  30. Mewborn, D. S.(1999). Reflective thinking among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 316-341
  31. Reiman, A. T., & Thies-Sprinthall, L.(1998). Mentoring and supervision for teacher development.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Inc
  32. Rodgers, C.(2002). Defining reflection: Another look at John Dewey and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College Record, 104(4), 842-866 https://doi.org/10.1111/1467-9620.00181
  33. Ross, D. D.(1989). Prepar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ransforming the apprentice through dialect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0(2), 31-35
  34. Schon, D. A.(1987).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Y: Basicbooks
  35. Spodek, B.(1987). Thought processes underlying preschool teachers' classroom decisions. Early Childhood Care and Development, 28, 197-208
  36. Stover, L.(1986). Writing to learn in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4), 20-23 https://doi.org/10.1177/002248718603700404
  37. Surbeck, E., Han, E., & Moyer, J.(1992). Two steps forward and one step back: Dancing forward reflection with undergraduate students. College Student Journal, 26(4), 459-466
  38. Surbeck, E., Park, E., & Moyer, J.(1991). Assessing reflective responses in journals. Educational Leadership, 48(6), 25-27
  39. Valli, L.(1992). After ward. InL. Valli(Ed),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Albany, NY : SUNY Press
  40. Whitebook, M., Howes, C., Phillips, D., & Pemberton, C.(1989). Who cares? Young Children, 45(1), 41-45
  41. Yinger, R., & Clark, C.(1981). Reflective journal writing : Theory and practice. East Lansing, MI: Institute for Research on Teaching. Occasional Paper no.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