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ng the Stock Value of Woraksan National Park Using Turnbull Distribution-Free Model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을 이용한 월악산국립공원의 자산가치 평가

  • 한상열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과)
  • Received : 2007.02.21
  • Accepted : 2007.04.05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Benefit-cost analysis is a useful tool for organizing information on the relative value of alternative public investments like national park preservation projects. When the value of all significant benefits and costs can be expressed in monetary terms, the net value (benefits minus costs) of the alternatives under consideration can be computed and used to identify the alternative that yields the greatest increase in public welfare. However, since goods and services of national parks are not commonly bought or sold in the marketplace, it can be difficult to express the outputs of a national park preservation project in monetary terms. In this case the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is employed to elicit the public benefit value. In this paper, a distribution-free approach, Turnbull empirical distribution model, is employed to analysis the benefit value of Woraksan National Park. The result is shown that annual use and preservation values of Woraksan National Park are estimated 6.5 and l37.4 billion won. Also, flow and stock values are estimated 143.9 and 3,021.7 billion won, respectively.

편익-비용분석은 국립공원 보전과 같은 공공투자 정책의 상대적 가치에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분석도구이다. 편익과 비용이 화폐단위로 계산될 수 있으면 순편익을 계산하여 공공후생을 최대로 얻을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규명할 수 있다. 그러나 국립공원에서 파생되는 재화와 용역은 일반시장에서 판매되지 않기 때문에 국립공원의 보존정책 결과를 금액으로 계산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이 경우 비시장재의 편익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선선택형 가상가치평가법이 가장 널리 적용된다. 본 연구는 이선선택형 가상가치평가법의 일종인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을 이용하여 월악산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 최종적으로 자산가치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연간이용가치는 65억원, 연간보존가치는 1,374억원으로, 프로우(flow)인 연간총가치는 1,439억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스톡(stock)인 총자산가치는 약 3조217억원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 2000.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국립공원관리방안 연구
  2.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a. 국립공원관리공단 예산서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b. 국립공원기본통계
  4. 국립공원연구원. 2006c. 입장료폐지에 따른 공원관리 강화 방안 연구
  5. 윤영일. 1997. 국제 자연보존연맹의 정의이해를 통한 우리 국립공원의 근본적 문제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5(2): 1-8
  6. 한상열. 2000a. 국립공원 방문객의 자연환경태도 측정. 한국임학회지 85(5): 598-608
  7. 한상열. 2000b.지리산 반달곰의 보존가치 평가를 위한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의 적용. 산림경제연구 8(1): 1-10
  8. Dunlop, R.E. and K.D. Van Liere. 1978.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A proposed measuring instrument and preliminary results.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9: 10-19
  9. Haab, T.C. and K.E. McConnell. 1997. Referendum models and negative willingness to pay: Alternative solu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32: 251-270 https://doi.org/10.1006/jeem.1996.0968
  10. Hanemann, W. M. 1984.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66: 332-341 https://doi.org/10.2307/1240800
  11. Kristrom, B. 1990. A non-parametric approach to the estimation of welfare measures in discrete response valuation studies. Land Economics 66: 135-139 https://doi.org/10.2307/3146363
  12. Kristrom, B. 1997. Spike models in contingent 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e Economics 79: 1013-1023 https://doi.org/10.2307/1244440
  13. Krutilla, J.Y. 1967. Conservation reconsidered. American Economic Review 57: 777-786
  14. Turnbull, B. 1976. The empirical distribution function with arbitrarily grouped, censored truncated data. J. Roy. Statist. Soc. Ser. B 38: 290-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