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설계 모형과 실천 간의 차이와 원인 분석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practice: A survey of design practice

  • 발행 : 2007.12.30

초록

본 연구는 교수설계모형에 처방된 여러 교수설계 활동들을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 및 실천하는지 그리고 실천하기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교수설계모형에 처방된 교수설계 활동들이 학교현장에서도 실제로 중요하다는 인식은 거의 대부분 하고 있었다. 10가지 교수설계 활동 모두를 응답자의 80%이상은 '매우 중요하다' 또는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교사들이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한 교수설계 활동들 가운데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수업전략 개발'이고 상대적으로 '학습환경 분석' 및 '평가도구 개발'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교수설계 활동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그 실천 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10가지 교수설계 활동 모두를 항상 활용한다고 응답한 교사는 아무도 없었으며, 적어도 5가지 교수설계 활동 이상을 항상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는 211명 가운데 단 9명(4.2%)에 불과했다. 이 외 거의 대부분의 교사들은 모형에 처방된 10가지 교수설계 활동 가운데 최소한 5가 지도 항상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14명(54%)의 교사들은 단 하나의 교수설계 활동도 항상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학습목표 진술'과 '학습과제 분석'을 가장 많이 실천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요구사정에 의한 수업목적 규명'과 '수업자료 개발'의 실천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10가지 교수설계 활동 모두를 실천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가 시간과 비용 부족때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이어서 전문성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설계 활동이 잘 실천되지 않은 이유로 교사들이 직접 제시한 것을 살펴보면, 주로 학생 수가 많고 개인차가 다양하며, 교사가 재량을 발휘할 권한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라는 내용이 많았다. 교수설계 모형과 실천 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은 현실적 제약조건이나 맥락에 적합한 모형 개발뿐만 아니라 이 모형을 현실에 맞도록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법에 더욱 초점이 맞추어져야한다. 이미 현실적 제약조건이나 맥락에 적합한 신속하며 융통성 있는 여러 대안적 모형이나 학교 교사에게 적합한 모형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학습과 실천을 통해 시간/비용 부족이나 전문성 부족 등의 문제는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수설계 실천 활성화를 위한 가장 근원적인 요인은 '실행체제 또는 관리자로서의 교사 이미지'에서 '설계자로서의 교사 이미지'로, '의사결정자로서의 교사 이미지'에서 '의미 구성자로서의 교사 이미지'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향상과 발달을 위해 가르치며, 이러한 학생의 발달은 '설계된' 양질의 수업활동을 통해 구현된다는 필연적 진리는 여러 현실적 제약조건들에 의해 과소평가되거나 정당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and how teachers include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in their planning work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211 teachers who were asked to indicate how important they thought 10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how often they used 10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in their planning works, and why an instructional design activity was excluded from some their planning works. Survey findings are as follows; Although teachers percept the importance about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practice design activities occur on an irregular and rarely ever practiced because of constraints as time and test. Only 9 of the 211 respondents reported doing more than half activities (5 of 10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in every planning works. The remaining respondents did less than half of the ID activities. Thus, a majority of teachers omitted a number of activities from their ID works. In light of survey results, activities for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practice would be focused on adoption or adaptation of ISD for teachers rather than development of ISD for compatible with real world constraints which is overflowing already. Therefore, based on context-adaptive and school or teacher-adaptive ISD models, throughout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eachers should learn and practice about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 design thinking, and design method. Also, most importantly, teacher's image should be transformed from delivery system or manager, and derision-maker to instruction designer and meaning-maker. That is critical for adoption and diffusion of ISD model to school.

키워드